경제·금융 정책

‘바닷속 치과의사’ 클리너슈림프, 세계 최초 인공번식 성공

화려한 모습에 세계적으로 인기 많은 관생생물

호주·미국 등에서 양식 시도 했지만 실패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관상용 바다새우 ‘클리너슈림프(사진)’를 치하(새끼 새우) 단계까지 길러 내는 인공번식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클리너슈림프는 어류에 붙어 있는 기생충이나 입 속 찌꺼기를 먹이로 삼는 독특한 습성 때문에 ‘바닷속 치과의사’라는 별명을 가진 새우다. 밝은 선홍색과 흰색이 어우러진 화려한 모습때문에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고부가가치 관상생물이다.

지금까지는 관상용 클리너슈림프를 양식해 생산하지 못하고 자연에서 전량 채집했다. 그동안 호주·미국 등에서 클리너슈림프를 양식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지만 유생 단계에서 나아가지 못했다. 다른 새우류에 비해 치하로 성장하기까지 기간이 길고 그 과정에서 유해세균이 번식하거나 탈피·변태 과정에서 영양이 부족하고 서로 잡아먹는 현상 등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완전 탈피체인 치하 단계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한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었고 이번이 처음이다.


클리너슈림프는 1마리당 약 3만원 수준이며 연간 30만 마리 이상 거래된다. 채집량의 3분의 1을 양식으로 대체하면 직접 생산효과는 연간 30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국립수산과학원은 해양수산부 정책연구과제인 ‘수산관상생물 양식기술개발 및 상용화 사업’의 일환으로 2년 4개월간 ‘클리너슈림프 인공번식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를 통해 유해 세균 제어 등 클리너슈림프 양식 성공을 어렵게 했던 요인들을 해결해 세계 최초로 양식 생산한 클리너슈림프 2마리를 치하 단계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번에 치하 단계까지 성장한 2마리를 비롯해 약 2,000여 마리의 초기 유생 등을 기르고 있다. 앞으로 양식 치하가 어미 새우로 성장하면 이 새우를 통해 2세대 양식새우를 생산하는 ‘클리너슈림프 완전양식’을 시도하고 대량생산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강준석 국산수산과학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그동안 양식이 어려웠던 클리너슈림프를 비롯한 해수관상생물 양식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고부가가치 해수관상생물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