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의약품 허가·신고 '뚝'...개량신약은 25% 늘어

국산 허가 신약 2건에 그쳐

지난해 보건당국에 허가·신고된 의약품이 전년보다 5.6% 감소한 반면 개량 신약은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약사들이 신약 후보물질이 적어 기존 허가받은 성분을 개량한 제품을 만드는데 집중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지난해 허가받은 15개 개발 신약 중 국산은 한미약품이 개발한 2개 제품(1성분)에 그쳤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2016 의약품허가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허가받은 의약품은 2,845개로 전년의 3,014개에 비해 169개가 줄었다. 이중 국내 제조 의약품은 2,639개, 수입의약품은 206개로 조사돼 각각 3.6%, 24.2% 감소했다. 개량 신약은 2015년 18개에서 지난해 24개로 6개가 늘었다.


개량 신약 외의 다른 의약품의 허가·신고 건수는 대체로 줄었다. 허가 신약은 총 25개로 2015년 34개보다 26.5% 감소했다. 희귀의약품 역시 2015년 49개보다 크게 줄어든 34개만 허가됐다. 의약품 전체로 봐도 지난해 총 2,845개가 허가·신고돼 2015년 3,014개보다 5.6% 감소했다.

관련기사



한편 완제의약품 2,761개를 약효군으로 구분하면 혈압강하제 등 순환계용 의약품이 676개(24.5%)로 가장 많았고 △신경계용 517개(18.7%) △소화기관용 262개(9.5%) △기타 대사성 의약품 179개(6.5%) △항생물질제제 128개(4.6%) △외피용약 121개(4.4%) 순으로 조사됐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