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18 기념식, 문재인 '임을 위한 행진곡' 재창 "민주주의 기억"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경선 기간 광주와 전남 목포 등 유세발언에서 “5·18기념식에 19대 대통령 자격으로 참석하겠다”고 공언했고, 5·9 대선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뒤 실제 이날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방문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있다”며 “새 정부는 5·18민주화운동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새 정부는 5·18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 더욱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헬기사격 등 발포와 관련한 진상 규명, 5·18 관련 자료의 폐기 및 역사왜곡 방지 등 앞서 공약했던 내용도 재차 전했다.

주요 공약 중 하나인 5·18 정신의 헌법전문 계승도 거론하며 이를 실천하겠다는 뜻도 확실히 전했다.


문 대통령은 새 헌법 전문에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비롯해 부마항쟁, 6월 민주항쟁, 촛불항쟁의 정신을 포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광주정신을 헌법으로 계승하는 진정한 민주공화국 시대를 열겠다. 5·18민주화운동은 비로소 온 국민이 기억하고 배우는 자랑스러운 역사로 자리매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한 국회의 협력과 국민의 동의를 요청하고 나섰다.

특히 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에도 큰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서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오월의 피와 혼이 응축된 상징이자 5·18민주화운동의 정신, 그 자체”라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은 기념사와 기념공연 관람을 마친 뒤 김종률 작곡가의 옆에 서서 시민들과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재창한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