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눈물의 추모사 주인공…'계엄군 총탄에 아버지 잃은 5·18둥이'

김소형씨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밝혀줬으면"

5·18 유가족 김소형씨 /연합뉴스5·18 유가족 김소형씨 /연합뉴스


“5·18은 제가 이 세상에 왔던 기쁜 날이기도 하지만 제 아버지를, 제 어머니의 남편을 빼앗아간 슬픔이기도 합니다”

1980년 5·18둥이로 태어나 아버지 얼굴도 보지 못하고 살아온 김소형씨는 18일 5·18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글을 읽던 도중 감정에 북받친 듯 울음을 터뜨렸다. 그 장면을 보던 문재인 대통령은 안경을 벗고 손수건을 꺼내 흐르는 눈물을 닦았고, 무대에서 퇴장하는 김씨를 안아주면서 위로했다.


김씨는 이날 기념식이 끝난 후 국립 5·18민주묘지에 남아 37년 전 계엄군 총탄에 목숨을 잃은 아버지의 묘소를 다시 찾았다. 전남 완도에서 직장을 다녔던 김씨의 아버지는 1980년 5월 18일에 태어난 딸을 만나기 위해 광주를 찾았다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다. 김씨의 아버지는 갓 태어난 딸과 아내를 지키기 위해 솜이불로 창문을 가리던 중 주택가까지 날아든 계엄군의 총탄에 희생당했다.

관련기사



김씨는 “만약 제가 그때 태어나지 않았으면 아빠도 살아계시지 않았을까 생각할 때도 있다”며 “5·18유가족은 눈물로 많은 날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5·18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밝혀줬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전하며 “5·18이 바른 역사로 후손에게 전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