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한 文 대통령…유가족 추모글에 '눈물'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시민들과 악수하며 ‘민주의 문’에서 걸어서 이동하고 있다.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시민들과 악수하며 ‘민주의 문’에서 걸어서 이동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4년 만에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5·18 유가족의 추모사를 들으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검은색 정장에 검은색 타이를 매고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그는 5·18 유공자 가족, 광주시민 등과 일일이 악수하고 환영을 받으며 기념식장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식순에 맞춰 애국가를 4절까지 부르고 기념사를 마친 뒤 이후 진행된 추모행사를 지켜봤다.


문 대통령은 총 세 순서로 구성된 추모행사 중 첫 번째 순서에서 눈물을 훔쳤다.

1980년 5월 18일에 태어났지만 그날 아버지가 시위에 참여했다가 계엄군의 총탄을 맞고 숨져 아버지의 얼굴도 못 본 김소형(37) 씨는 추모글을 읽던 중 감정에 북받친 듯 울음을 터뜨렸다. 객석에 있던 문 대통령은 그 장면을 보다 안경을 벗고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았다. 김씨가 추모사를 마치고 무대 뒤로 퇴장하려 하자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무대 위로 올라 김씨를 안으면서 격려했다.


자리로 돌아온 문 대통령은 가수 전인권 씨가 추모곡으로 부른 ‘상록수’를 따라부르기도 했다. ‘상록수’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즐겨 부르던 곡으로 유명하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자신이 업무지시를 내려 제창할 수 있도록 한 ‘임을 위한 행진곡’도 함께 불렀다.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양쪽에 있던 정세균 국회의장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가인 김종률 씨의 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며 노래를 제창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오월의 죽음과 광주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며 세상에 알리려 했던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도 함께 기리고 싶다”고 말하며 희생자들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다. 유가족은 문 대통령의 기념사를 들으면서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이름을 부른 희생자는 82년에 광주교도소에서 단식하다 옥사한 전남대생 박관현 씨와 87년에 ‘광주사태 책임자 처벌’을 외치고 분신한 노동자 표정두 씨, 88년에 ‘광주학살 진상규명’을 외치며 명동성당에서 투신한 서울대생 조성만 씨, 같은 해 ‘광주는 살아있다’고 외치며 숭실대에서 분신한 숭실대생 박래전 씨다.

문 대통령은 행사가 끝난 후 퇴장하면서 유족들과 일일이 악수하고 이야기를 나눴다. 이어 문 대통령은 김소형씨의 아버지인 고 김재평 씨의 묘역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윤상원 열사의 묘역을 참배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