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일자리·복지 증세...새정부 첫 공식화

민생경제 회복 전제로

중장기 증세 플랜 마련

청와대와 정부는 민생경제가 회복되면 복지재원 마련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증세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에 따르면 청와대와 기획재정부는 일자리 창출, 가계부채 등 민생경제가 회복 신호를 보이면 증세방안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 같은 내용은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내달 발표하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18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자리 창출, 가계부채, 민생경제 분야에서 속도를 내면 이어 중장기적으로 증세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며 “기재부와 세부적인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방안은 청와대와 교감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당장 증세에 나서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지금 국가 경제 여건이 어려운데 우선 민생경제를 회복시키고 이후 증세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운영 로드맵을 짜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이 같은 방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자문위원회는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 신설과 북핵으로 인한 한반도 위험 제거를 꼽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우선 민주당이 대선에서 발표한 공약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부처별로 나눠 토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성장 담론인 소득주도 성장론을 기본으로 깔고 일자리 창출의 밑그림을 그린다는 것이 청와대와 정부의 구상이다.

이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이 최고의 복지라는 소득주도 성장론을 바탕으로 모든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것”이라며 “국정운영 5개년계획에는 구체적인 예산집행 시기와 정책 추진을 위한 소득재원 마련 방안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