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상] 문 대통령과 함께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 감동의 순간

9년 만에 '제창'한 5.18 민주화운동 노래

文, "참이 거짓을 이기는 대한민국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열린 제37주년 5.18 기념식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제창’이 금지된 이래 9년 만에 다시 불리게 된 것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임을 위한 행진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다, 오월의 피와 혼이 응축된 상징”이라면서 “오늘 제창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취임 후 첫 대중 연설을 한 문 대통령은 “더 이상 서러운 죽음과 고난이 없는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다, 참이 거짓을 이기는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다”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기념식에 참석한 시민들은 문 대통령의 말에 곳곳에서 눈물을 훔쳤다.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5.18 유족 등 시민 1만 5,000여 명이 모였다. 이는 그간 기념식 중 역대 최다 인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 작곡가인 김종률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왼쪽), 정세균 국회의장(오른쪽) 등과 함께 손을 잡고 이 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 작곡가인 김종률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왼쪽), 정세균 국회의장(오른쪽) 등과 함께 손을 잡고 이 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제37주년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5월 유족인 김소형씨를 위로하고 있다. / 연합뉴스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제37주년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5월 유족인 김소형씨를 위로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한 5.18 유족이 추모사를 읽는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지난 1980년 5.18 당시 태어났지만 그날 아버지를 여읜 유족 김소형 씨는 “아버지, 당신이 제게 사랑이었음을. 당신을 비롯한 37년 전의 모든 아버지들이 우리가 행복하게 걸어갈 내일의 밝은 길을 열어 주셨으면 사랑합니다. 아버지”라며 흐느꼈다.

이를 지켜보며 눈물을 흘리던 문 대통령은 김씨가 무대에서 퇴장하자 자리에서 일어나 다가갔고 김 씨를 안아주면서 위로하기도 했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