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 외화벌이 거점’...말레이 사라왁주 북한근로자 전원 철수

1980년대부터 北 외화벌이 거점으로 이용돼

김정남 암살 계기로 불법체류 북한인 근로자 전원 추방

북한 해외 노동자들의 외화벌이 통로였던 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州)에서 북한 근로자들으 전원 철수했다./연합뉴스북한 해외 노동자들의 외화벌이 통로였던 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州)에서 북한 근로자들으 전원 철수했다./연합뉴스


북한 해외 근로자들의 돈벌이 통로였던 말레이시아 사라왁주(州)의 북한인 근로자들이 30여 년 만에 전원 철수했다.

22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언론인 보르네오포스트에 따르면 마시르 쿠잣 말레이시아 내무부 차관은 전날 “북한 근로자 중 누구도 취업허가 갱신을 신청하지 않았다”며 이들이 모두 현지에서 철수했다고 밝혔다.

보르네오 섬 서북해안에 위치한 사라왁주는 1980년대부터 북한 근로자들이 탄광과 건설산업에 종사하며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거점으로 이용됐다. 하지만 김정남 암살 사건 수사를 계기로 이들 대다수가 불법체류자로 밝혀지면서 말레이시아 이민국이 지난 3월 이들 44명을 체포해 송환한 바 있다.


마시르 차관은 “사라왁에는 이달까지 유효한 취업허가를 가진 북한인 근로자 35명이 남아 있었으나, 이들은 취업허가가 만료되자 곧장 출국했다”며 “이들이 떠나면서 사라왁에는 북한 근로자가 전혀 없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말레이시아와 북한은 올해 2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이 북한 당국으로부터 암살당하면서 관계가 급속도로 나빠졌다.

북한은 지난 2월 김정남 암살 이후 용의자들을 인도해달라는 말레이 당국의 요구를 무시한 채 김정남의 시신 인도를 줄곧 요구해왔다. 하지만 말레이 당국의 수사망이 북한 외교관 등으로까지 좁혀져 오자 자국 내 말레이시아인을 전원 억류해 인질로 삼는 초강수를 뒀다. 결국, 말레이시아는 김정남의 시신과 북한인 용의자들을 맞교환하기로 합의한 후 3월 말 양국관계 정상화를 선언했으나 내부적으로 북한에 대한 반감이 팽배한 상황이라고 전해진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