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여의도메신저] 통합 이후 새 시스템 개발 나선 미래에셋대우

40여명 부서 꾸려 설계 착수

이르면 내년 시스템 변경 예정

2315A21 삽화


미래에셋증권과 대우증권 합병 이후 약 전산사고를 냈던 미래에셋대우가 새로운 전산시스템 설계에 착수했다. 금융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개발해 이르면 내년부터 전산시스템을 변경할 예정이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차세대 전산시스템 개발을 위한 새로운 부서를 신설해 설계를 시작했다. 이 부서에는 약 40여명의 직원들이 포함됐으며 내년 시스템 오픈을 목표로 작업 중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올 초 통합 이후 개인투자자들은 물론 사내 자산운용역들까지 전산장애로 내홍을 겪었다.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접속이 원활하지 못했을 뿐더러 딜링룸 등 사내 운용역들까지도 주문 접속 장애로 혼선이 발생하기도 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미래에셋대우의 명성에 문제를 일으켰다는 것이 경영진들의 판단이다.


애초 미래에셋금융그룹은 두 회사의 통합을 결정한 뒤 미래에셋증권의 전산으로 통합시키는 작업을 고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이 약 2년 전부터 차세대 전산시스템 설계를 구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대우증권 쪽에서 통합 기간 6개월을 제시하며 대우증권 전산시스템 단일화를 주장했고 통합작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대우증권 전산 시스템에 맞춰 작업이 진행됐다.

관련기사



미래에셋대우가 통합한 지 5개월가량이 지났으나 아직도 미래 쪽과 대우 직원들 간 시스템 단일화가 이뤄지지 못했을 뿐 아니라 대우증권의 전산시스템이 오래돼 비효율적이라는 미래 쪽 직원들의 컴플레인이 이어지자 전산시스템 검토에 들어갔다는 설명이다.

미래에셋대우에 정통한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미래 쪽 전산으로 다시 통일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추후 금융시장이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는 판단 아래 차세대 시스템을 새로 만들기로 결정했다”면서도 “미래에셋증권이 시도하다 실패한 차세대 시스템 개발이 이번에는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 관건”이라고 말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