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대대로 푸드트럭이 활성화되면 청년들의 창업기회가 확대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우려가 적지 않다. 많이 허가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푸드트럭 정책은 2014년 9월 의욕적으로 시행됐지만 지금까지 성적은 기대 이하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전국에서 합법적으로 영업 중인 푸드트럭은 448대에 불과하다. 한창때 870대가 넘게 등록했으나 절반 가까이가 폐업하거나 영업을 중단한 것이다.
신고만 하고 실제 운영하지 않는 ‘유령 푸드트럭’이 70%에 달한다는 지적도 있다. 2,000대 이상 창업과 6,000명 이상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정부의 장담이 무색하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영업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은 채 숫자 늘리는 데만 신경 쓴 정부·지자체의 책임이 크다. 푸드트럭을 합법 운영할 수 있는 장소는 시·구청에서 정해준 공유지나 야시장 등 특수영업지 정도다.
지하철역 주변 등 장사가 될 만한 장소는 사유지이거나 상인과의 갈등을 피할 수 없는 곳이다. ‘푸드트럭 존’도 대부분 유동인구가 적은 곳이다. 특수영업지를 확대한다지만 이 또한 지역 상권의 반대가 심해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푸드트럭이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철저한 상권분석 등을 통해 푸드트럭이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는 것이 우선이다. 숫자는 이후에 늘려도 늦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