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뭄해갈·홍수 예방" "환경만 파괴" 논란 가열되는 4대강 사업

주변 하천문화공간 조성 놓고도

"관광기반 확충" "혈세낭비" 팽팽

4대강 16개보가 내년 말 존폐의 기로에 놓이면서 4대강 사업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둘러싼 논쟁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정규석 녹색연합 정책팀장은 23일 “4대강 사업은 ‘고인 물은 썩는다’는 지당한 상식을 거스른 것”이라며 “졸속으로 추진된 4대강 사업이 4대강의 자연성을 파괴한 만큼 과학적인 검토를 거쳐 신중하게 재자연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보를 철거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환경부도 4대강 사업이 수질을 악화시켰다는 데 대해서는 이견을 나타내지 않는다. 환경부 고위관계자는 “4대강에 보가 설치된 후 유속이 느려지면서 녹조가 증가한 것은 연구용역 등에서 이미 확정된 사실”이라며 “정부가 올해 초 댐·저수지 물을 방류하고 보의 수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녹조를 줄이고자 한 것도 이 같은 분석에 기반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환경부와 시민단체가 주로 4대강 사업의 역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국토교통부와 수자원 관련 학계 등에서는 순기능에 방점을 찍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가뭄이 심한 중부지방은 가뭄 해소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4대강 사업보다 더한 사업도 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홍수 예방, 가뭄 해갈 등 4대강 사업의 순기능 부분은 과소 평가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4대강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하천문화공간은 순기능과 역기능 모두의 사례로 제시된다. 한쪽에서는 자전거길 등 수변 지역 조성 및 관광 레저산업 확충 등을 높이 평가하는 반면 반대편에서는 혈세를 쏟아부어 만든 공원이 아무도 찾지 않는 ‘유령’ 공원으로 방치돼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