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정부, 달걀 500만개·닭고기 2,100t 푼다

농림부, "시장안정화에 주력"

달걀, 닭고기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자 정부가 비축물량을 풀어 시장 안정화에 나서기로 했다./연합뉴스달걀, 닭고기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자 정부가 비축물량을 풀어 시장 안정화에 나서기로 했다./연합뉴스


달걀, 닭고기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자 정부가 비축물량을 풀어 시장 안정화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농협을 통해 달걀과 닭고기를 시중 가격보다 저렴하게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분간 가격 흐름을 지켜보고 필요한 경우 내달 초 약 2주 간 농협을 통해 달걀 400만~500만개를 시중 가격보다 30% 이상 낮은 가격으로 공급한다. 농협이 정부 비축물량을 산지가격에 사들인 뒤 농협유통 판매장을 통해 6,000~7,000원 수준으로 판매할 방침이다.

닭고기는 오는 31일부터 비축물량 2,100t가량을 시중 가격보다 50% 이상 낮은 가격에 방출할 방침이다. 이는 국내 1~2일 판매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또 농림부는 민간 비축물량(6,000t)도 가능한 빨리 시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라 밝혔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잠잠해졌는데도 달걀과 닭고기 소매가가 상승했다. 최근 공급이 감소하고 행락철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달걀의 경우 지난 2월 7,000원대로 떨어진 이후 3개월 만에 8,000원대를 다시 넘어섰다.

관련기사



농식품부는 18일을 기점으로 달걀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라 분석하고 있다. 이미 하루 달걀 생산량의 경우 평년의 85% 수준까지 회복됐다. 내달 6월에는 산란계 사육 마릿수가 전년 대비 88%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달걀 수입국도 호주, 뉴질랜드로만 한정돼 있었으나 최근 덴마크, 네덜란드 등이 가능 국가로 추가됐다. 내달 중 태국, 스페인 등에도 수입을 추가로 허용할 예정이다. 특히 태국 달걀은 AI 발생 이전의 국내 달걀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농식품부는 내다봤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빠르면 6월 중에 태국산 등 달걀 수입으로 가격이 조기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가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산물품질관리원과 합동으로 유통업체·판매업체 등에 사재기 등 현장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