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국민연금이 노후 대책의 기초가 되는 구조다. 하지만 빠른 노령화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대비 낮은 국민연금 운용수익률은 충분한 연금 지급률로 연결되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정치권에서 나오는 ‘중부담 중복지’는 결국 사전에 국민연금 부담률을 올려 나중에 받을 연금액을 늘리겠다는 뜻이다. 더 많이 적립하면 나중에 더 많이 주겠다는 단순한 논리인데 현재의 빠듯한 소득에서 국민연금 불입액 증액은 적잖은 부담이 될 수 있다.
연금에 대해 말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연금의 소득대체율 상향’이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이란 본인이 은퇴 이후에 받을 연금액의 크기가 30년 내외로 일하는 동안 평균적으로 받은 본인의 연봉을 얼마나 대체할 수 있는가의 비율을 뜻한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50%라는 것은 은퇴 이후 연금수령액이 근로기간 평균연봉의 2분의1 수준이라는 뜻이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을 올리는 근본적인 방법은 세 가지다. 첫번째, 현재의 연봉을 월등히 높여서 매달 적립하는 금액을 올리는 방법이다. 두번째, 10년 전 평균수명 정도인 75세까지만 사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연금 운용수익률을 올리는 방법이다. 현실적인 대안은 세번째 방법이다. 누구나 연금 운용수익률을 높이고 싶어한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우리가 선택했던 방법은 안정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연 1%대의 수익률에 머무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TDF(Target Date Fund)를 도입해 연금을 운용하는 미국이나 호주·영국·캐나다 등은 연평균 5%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해볼 이슈다. TDF가 연금준비 수단의 만능이라는 얘기가 아니다. 잘 분산되고 잘 관리되는 투자상품으로 연금운용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우리가 지난 10년간 밟아왔던 원금보장형이나 시류에 편승해 특정 자산에 투자하는 두 가지 길을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 지금은 연금을 적금하듯 그냥 누적해서는 더 큰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을 높이지 못한다면, 결국 나중에 부족한 돈으로 의미 없는 삶을 지속해야 하는 힘든 노후를 맞이할 수밖에 없다. 여유 있는 노후를 원한다면 사적연금에서라도 연금의 소득대체율을 올리기 위해 연 5% 이상의 투자수익률이 가능한 상품이 꼭 필요하다. 지금이라도 자산의 연금계좌를 살펴보고 투자 방법을 리모델링 해야 한다. 남상직 한국투자신탁운용 마케팅전략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