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혼인 감소에 이혼까지 늘어…출생아 수 역대 최저

통계청 '3월 인구동향'

2분기 연속 출생아 수 10%대 감소

올해 1분기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서울경제DB올해 1분기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서울경제DB


올해 1분기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혼인이 감소하는 추세에서 이혼까지 늘어나면서 저출산 구조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월 출생아 수는 3만3,2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13.1%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누적 출생아 수는 9만8,8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3% 감소했다. 작년 4분기 8만9,100명으로 12.7% 감소했던 데에 이어 연속으로 10%대 감소율이 나타났다. 두 분기 연속으로 10만 명을 넘지 못한 셈이다.

통상 1년 중 1분기가 출생아 수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전체 출생아 수는 30만명 대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지난해 출생아는 40만6,300명으로 역대 최소였다.


가임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도 올해 1분기 0.29명으로 1년 전보다 0.04명 감소했다.

관련기사



3월 혼인 건수는 2만3,300건으로 1년 전보다 6.8% 감소했다. 1분기 누적 혼인 건수는 6만8,700건으로 3.6% 줄었다. 반면 3월 이혼 건수는 9,500건으로 1년 전보다 5.6% 증가했다. 1분기 누적 이혼은 2만6,500건으로 4.7% 늘었다.

통계청 이지연 인구동향과장은 “1분기에 크게 감소했기에 나머지 분기가 감소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출생아 수는 역대 최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며 “여기에 혼인이 줄고 이혼이 올라가는 상황을 무척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3월 사망자 수는 2만4,200명으로 1년 전보다 4.0% 감소했다. 1분기 누계 사망자 수는 7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0% 감소했다. 고령화 추세도 멈추지 않고 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