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인권전문가 강경화, 위안부 합의 보완할 적임자"

10여년간 유엔서 인권·인도주의 분야 활동 두드러져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외교부 장관 후보자인 강경화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를 두고 위안부 합의를 보완할 적임자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4일 김기정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외교·안보 분과위원장은 “새로운 장관(강 후보자)이 오시면 인권 전문가니 아마 그런 관점에서 위안부 문제에 관한 리뷰와 좋은 안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강 후보자는 지난 10여 년 간 유엔에서 주로 인권·인도주의 분야에 집중해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후보자는 2006년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재직 말기에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OHCHR) 부판무관이 됐고, 2011년부터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로 활동했다. 이후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사무차장보 겸 부조정관으로 활약했다.


강 후보자가 유엔에서 일하게 된 계기도 바로 ‘인권’이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 후보자는 지난 2015년 한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1995년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여성대회에서 우리 측 대표단 대변인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전 세계에 알린 경험이 주요한 계기가 됐다고 설명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에 강 후보자가 외교부 장관으로 정식 임명되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실체를 두고 전쟁 범죄와 인권유린을 지탄하는 국제적 시각으로 새로운 대일 외교 방식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최근 유엔에서 인권 기준에 입각해 한일 위안부 합의를 보완할 필요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 점도 강 후보자에게 합의 보완을 적극 추진할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유엔 고문방지위원회(Committee against Torture·CAT)는 지난 12일(현지시간) 한국 관련 보고서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양국 간 이뤄진 합의를 환영하지만, 피해자에 대한 보상과 명예회복, 진실규명과 재발 방지 약속 등과 관련해서는 합의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런 분위기에 최근 일본 매체는 강 후보자 지명을 두고 긴장감을 내비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요미우리신문 등은 강 후보자가 과거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보여온 사실을 언급하며 외교부 장관이 되면 합의 재협상을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