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년연속 적자 '상장 한계기업' 빚 53조...'제2 대우조선 사태' 우려

고용직원도 10만명 육박…채무관리 대책 시급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많아 ‘제2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계기업 3,278개 중 기업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있는 상장 기업이 23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금융당국이 기업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뜻한다. 만일 매출이 많고 고용 직원이 많은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지면 한국 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위험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김 의원이 발표한 상장 한계기업 매출액 합계는 71조3,545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1,565조원)의 4.6%를 차지한다. 상장 한계기업의 매출 규모는 대우조선해양 매출의 5.3배에 달했고 고용한 직원 수는 총 9만6,018명이다.

관련기사



상장 한계 기업의 부채액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2012년 38조원이었던 상장 한계 기업의 신용공여액(대출, 지급보증 등)은 2015년 53조5,000억원으로 약 1.4배 늘어났다.

제2, 제3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벌어질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김종민 의원은 “가계부채와 마찬가지로 기업부채도 양적 관리 뿐 아니라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한계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은 만큼 한계기업이 우리 경제의 화약고가 되지 않도록 별도의 채무관리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