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9단 5명 '드림팀'도 못 넘은 알파고

상의해 두는 상담기에서도 불계패

'페어바둑'은 인간-AI 공조 가능성 보여

프로 9단 5명이 머리를 맞대도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넘을 묘수는 나오지 않았다.

5명으로 구성된 중국팀은 26일 중국 저장성 우전에서 열린 ‘바둑의 미래 서밋’ 상담기에서 알파고에 254수 만에 흑 불계패했다. 중국팀에는 모두 세계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스웨 9단, 천야오예 9단, 미위팅 9단, 탕웨이싱 9단, 저우루이양 9단 등 정상급 실력자들이 포함됐다.


여러 명이 상의해 수를 정하는 상담기는 그나마 인간이 이길 가능성이 있는 대국 방식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대국 스타일과 집단의 지성을 활용해 다각적인 전략 전개로 인공지능의 연산을 다소 흔들어 놓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결과는 또 패배였다. 중국팀은 알파고 연구에 노력해온 저우루이양 9단이 대표로 착수했고 알파고의 착수 대리인으로는 구글 딥마인드의 아자 황 박사가 나섰다. 백을 잡은 알파고는 초반 순항하던 중국팀을 백 58에 이은 백 60수로 당황하게 만들었다. 백 58로 상변 백 한 점을 버리는 듯하더니 중국팀의 흑59 대응을 틈타 60으로 타개의 흐름을 찾았다. 제한시간 2시간30분을 다 쓰고 초읽기(1분씩 3회)에 쫓긴 중국팀은 착수자를 탕웨이싱 9단으로 교체하며 끝내기에 집중했으나 알파고의 마무리에 빈틈을 찾지 못하고 돌을 던졌다. 제한시간이 2시간30분으로 짧아 상담기의 효과가 없었다는 분석도 나왔다. 알파고와 일대일 대국 3번기를 벌이고 있는 커제(중국) 9단은 각자 3시간에 1분 초읽기 5회를 받고 있다.

이날 앞서 열린 페어바둑에서는 ‘롄샤오 8단-알파고’ 팀이 ‘구리 9단-알파고’ 팀에 220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뒀다. 2인1조 페어대국은 두 사람이 번갈아 두며 상대편과 싸우는 복식 형태로 구리→롄샤오→구리팀 알파고→롄샤오팀 알파고 순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렌샤오 팀이 역전승을 거둔 건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조 가능성을 보여준 대목으로 평가된다. 딥마인드알파고의 창의력을 테스트하고 알파고가 다양한 바둑 스타일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살펴보는 게 딥마인드 측의 의도다. 새로운 방식의 대국을 거듭할수록 알파고가 더욱 강해지는 느낌이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