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 방문' 최태원 회장, "사회문제 해결에 기업 역할 해야"

"사회적 가치, 재무적 가치와 동일하게 평가받아야"

SK그룹,' 더블 바텀 라인' 통해 기업 평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7일 중국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상하이포럼’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최 회장은 8개월 만의 중국 방문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다시 한번 강조했다. /사진제공=SK그룹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7일 중국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상하이포럼’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최 회장은 8개월 만의 중국 방문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다시 한번 강조했다. /사진제공=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개월 만에 방문한 중국에서의 ‘첫 마디’는 ‘상생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이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27일부터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 등에서 열린 ‘2017 상하이 포럼’에 참석해 “기업이 생존하고 사회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와 재무적 가치를 함께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SK그룹은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모두 반영하는 ’더블 바텀 라인(double bottom line)‘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 회장은 기업이 생산하는 사회적 가치가 인정받아야 함을 역설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가 재무적 가치와 동등하게 인정받게 되면 기업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최 회장의 믿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SK그룹은 최근 국내의 사회적 관심사가 된 비정규직 해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5,000여명 규모의 SK브로드밴드 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한 바 있다.

최 회장은 포럼에서 “과거 우리의 최대 관심사는 재무적 이슈(Financial Issue)였지만 이제는 사회적 이슈(Social Issue)로 그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며 구체적인 SK그룹의 성과를 소개했다.


최 회장은 SK그룹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사회성과인센티브(SPC?Social Progress Credit) 제도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 SPC는 사회적 기업들이 만든 사회적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 보상해 주는 제도로 SK그룹은 이런 기준들을 바탕으로 사회적 기업 어워드를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관련기사



아울러 SK그룹은 행복나래, 행복도시락 등 직접 운영중인 13개 사회적 기업을 통해 총 2,500여명의 직접 고용을 창출했으며, 외부 사회적 기업들에게는 사회성과인센티브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고 있다는 점도 알렸다.

재계에서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한반도 배치 등을 이유로 SK그룹의 중국 경영 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도 8개월만에 중국에서 던진 최 회장이 메시지가 ’기업의 사회적 의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우선 ’상생경영‘을 특히 강조하는 새로운 정부의 정책에 SK그룹이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을 넘어서 정부와 함께 상생경영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기업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며 “SK그룹은 이전부터 상생경영에 힘을 써온 기업이지만 새 정부 들어서 함께 할 수 있는 부분이 더욱 많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최 회장은 SK그룹의 현지 사업장을 챙기는 것도 잊지 않았다. 최 회장은 상하이 포럼 참석에 앞서 베이징을 방문, SK차이나 제리 우 신임대표를 만나는 등 현장경영 행보를 이어갔다. 지난 4월 선임된 우 대표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및 골드만 삭스에서 근무한 금융전문가로 최 회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가 중국 사업에 미치는 여파를 현장에서 살펴보며 해법 마련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회장은 중국 일정을 짧게 마무리하고 지난 27일 밤늦게 한국에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