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정규직 미혼男 10명중 3명 "결혼 의향 없다"

정규직보다 '결혼 의향' 크게 낮아

고용안정이 결혼조건으로 작용 분석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결혼 의향도 정규직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5년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44살 취업한 미혼남녀(남성 652명, 여성 816명)를 대상으로 결혼 의향을 조사한 결과 미혼 남성 가운데 결혼할 생각이 있는 비율은 정규직(386명)은 78%로 나타났다. 반면 비정규직(213명)은 69.5%로 이보다 낮았다. 남성만큼 차이가 크지는 않았지만 미혼 여성의 경우도 정규직의 결혼 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규직(497명) 여성의 경우 66.8%가, 비정규직(244명)은 63.1%가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대답했다.

관련기사



특히 미혼 여성의 경우 정규직·비정규직 차이보다 직종 및 직장 유형에 따라 결혼 의향 차이가 컸다. 직종별로 보면 사무직(290명)은 67.6%로 높은 편이었고, 이어 관리직 및 전문직(332명) 66.3%, 서비스판매직(160명) 58.8%, 기타(35명) 54.3% 등의 순이었다. 직장별로는 대기업(97명) 78.4%, 중소기업(316명) 67.1%, 공무원 및 공공기관(109명) 66.1%, 개인사업체 등(295명) 5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미혼남성의 경우 고용안정이, 미혼여성은 직업 및 직장의 안정성이 결혼조건으로 유리하게 작용해 결혼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조사 결과를 해석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