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비정규직 해결 방식 10가지 문제점] ⑨ 파트타임 원한 직원도 정규직해야 하나

어린 아이 키우는 직장맘은

부담적은 저임금 직군 원해

개별 기업의 업무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규직화는 오히려 혼란과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마다, 직원마다 처한 환경에 따라 찬반 입장이 제각각이어서다.


시중은행의 경우 100대1의 경쟁률을 뚫고 입사한 일반직이 있는가 하면 창구 텔러 등 특수한 업무에 한정된 저임금 직군도 존재한다. 저임금 직군은 일반직에 비해 임금과 인사 등에 불이익을 받지만 오히려 정규직 전환이 달갑지 않다. A은행 노조 관계자는 “아이를 키우는 직장맘들은 월급을 덜 받더라도 정시 퇴근과 업무 부담이 적은 저임금 직군에 속해 있기를 원한다”며 “직원 100% 모두 일반직(정규직) 전환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더구나 비정규직 중에는 변호사나 펀드매니저 등 고액 전문직이 많은데 이들을 모두 정규직화한다는 것은 난센스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온다. 치킨·햄버거 등 외식 프랜차이즈와 편의점 업체의 경우 가맹점 비정규직 문제를 전부 본사 부담으로 떠넘길 경우 통제 범위가 너무 커진다는 점이 문제다. 반면 고작 1~2명의 직원을 고용하는 가맹점주까지 직원 정규직화를 강요할 경우 자영업을 되레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유통 업계의 경우 설이나 추석처럼 명절 대목에는 일손이 모자라 단기근로자를 채용하는데 특정 기간에만 필요하다 보니 비정규직으로 채용할 수밖에 없다. 정부 정책에 따라 무조건적인 정규직 전환이 된다면 일손은 필요한데 무작정 채용하는 것도 어렵다는 불만이 나온다.

관련기사



비정규직의 일반직 전환에 따라 승진경쟁이나 임금 동결 등에 따른 노노갈등 조짐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기아자동차 노조는 비정규직을 배제하는 안건을 조합원 72%의 찬성으로 가결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고통분담을 사실상 거부한 것이다. 기아차처럼 갈등이 겉으로 표출되지는 않고 있지만 무기계약직 3,0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B은행의 경우 일반직 직원들의 승진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고 임금 동결 등에 대해 노조를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2007년 우리은행의 경우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정규직 임금을 동결했고 국민은행은 2014년 계약직 4,2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정규직의 연월차수당을 줄여 고통을 분담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