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文 질책에도...경총 "비정규직 원칙 변함없다"

"재계, 후폭풍 심각하게 받아들여"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청와대와 여당의 강도 높은 비판에 당혹스러워하면서도 ‘비정규직의 무조건적인 정규직 전환’ 정책은 반대한다는 기존 원칙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재계가 비정규직의 무조건적인 정규직 전환이 가져올 후폭풍에 대해 그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29일 김동욱 경총 기획홍보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나 “김영배 경총 부회장이 25일 경총 포럼 인사말을 통해 밝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대한 의견은 개인 의견이 아니라 경영계를 대변하는 경총의 입장”이라며 “이를 바꿀 가능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경총 역시 정부의 비정규직 차별 해소 정책에는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지만 여기저기서 봇물 터지듯 이어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문제가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5일 김 부회장은 “인천공항공사의 정규직 전환 추진 정책 이후 민간기업에서도 정규직 전환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와 기업이 매우 힘든 지경”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모든 근로자들이 보다 나은 일자리를 원한다고 해서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으로 옮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어렵고 중소기업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새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대해 경제계를 대표해 처음으로 공개 비판했다. 김 부회장의 발언이 확대되면서 26일 박광온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지극히 기업적 입장의 편협한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김진표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도 “(재벌들이) 압박으로 느낄 때는 느껴야 한다”고 말했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경총은 비정규직으로 인한 양극화를 만든 주요 당사자로 책임감을 갖고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까지 전했다.

관련기사



경총은 자칫 사용자 측과 노동계가 대립각을 세운다는 오해를 없애기 위해 일단 다음달 출간 예정이었던 ‘비정규직의 오해와 진실’ 책자는 무기한 연기하기로 했다. 또 박병원 경총 회장이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나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등 현 정부 주요 인사와 친분이 있는 만큼 비정규직 문제에 적극 소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정규직의 무조건 전환은 반대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확인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쓴소리를 귀담아듣겠다고 밝힌 만큼 경총의 입장이 재계의 목소리라는 점을 무게 있게 고려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