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한반도 인접 中 랴오닝성 '미세먼지 대책' 발표

철강·화력발전 등 공업오염원 집중관리

랴오닝성 선양시에서 발생한 스모그/연합뉴스랴오닝성 선양시에서 발생한 스모그/연합뉴스


한반도와 인접한 중국 랴오닝성이 중국발 스모그 저감 및 공기질 개선에 대대적으로 나섰다. 중국 당국이 중국발 미세먼지를 인정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랴오닝성의 계획이 한반도 미세먼지 해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29일 중국 심양만보에 따르면 랴오닝성 정부는 ‘오염퇴치 및 생태건설 행동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랴오닝성내 철강·화력발전·시멘트·유리·석탄·제지·염색·오수처리장·쓰레기소각장 등 9개 업종, 1만4,000개 공업오염원을 집중 관리해 공기질을 개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같은 계획을 통해 랴오닝성 정부는 연내 PM 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 평균 농도를 50㎍/㎥ 이하, PM 10(지름 10㎛ 이하의 미세 먼지) 평균 농도를 77㎍/㎥ 이하로 낮추는 한편 2020년까지 PM 2.5 농도를 42㎍/㎥로 낮출 방침이다.


랴오닝성 정부는 연말까지 석탄 사용량을 2억100만t 이내로 통제하고 배출가스 환경기준에 못 미치는 구식 차량 10만대를 운행 중단토록 할 예정이다. 또 자동차 도로 원격탐지 검사로 배출가스 기준치 초과차량을 지속적으로 단속하고 3년 내로 지열에너지 열펌프 등 친환경에너지 사용면적을 2,000만㎡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스모그 상세 관측 시스템, 대기분진 관측소, 생태환경기상관측소 등을 건설해 공기질 예측·예보 능력을 강화하고 선양·다롄·안산·푸순 등지에 저공경계층 기상관측시스템을 만들기로 했다.

관련기사



심양만보는 “성정부가 매년 발생하는 스모그 저감을 위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고 환경오염 영향이 큰 오염원에 관리감독을 강화키로 했다”며 “2020년까지 환경 배출 기준에 맞도록 오염원을 다스린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중국발 미세먼지’를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한 가운데 랴오닝성의 정책이 남북한을 의식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