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마한 해상세력 추정 유적 해남반도에서 발굴

침미다례 실체 밝혀지나

해남 석호리 대지유적 목관묘 전경/사진제공=문화재청해남 석호리 대지유적 목관묘 전경/사진제공=문화재청


해남에서 기원후 3세기부터 4세기에 조성된 마한 시기의 대규모 고분군이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31일 (재)대한문화재연구원이 해남반도 남서쪽 바닷가 인근 산에서 발굴 조사 중인 ‘해남 화산~평호 도로개설공사 구간 내 유적’에 50여 기의 고분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이 고분들은 100여년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고분은 마한의 전통 무덤 양식으로 발굴 과정에서 단경호(목 짧은 항아리), 이중구연호(겹아가리 항아리), 양이호, 조형토기 등의 토구류 외에도 200여점 이상의 부장유물들이 함께 수습되고 있다. 고분이 만들어진 시기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으로 출토유물은 동 시기에 조성된 해남 부길리웅관묘, 분토리고분군, 신금취락 유적 자료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발굴로 ‘일본서기’에 기록된 침미다례 집단의 실체를 밝힐 수 있을지 주목된다. 침미다례는 해남반도에 있던 마한의 주요 세력으로 서기 369년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소멸했다. 안호리·석호리 대지유적 고분군의 소멸시기와 일치한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