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난 파리 아닌 피츠버그 대표”…기후협정 탈퇴

백악관 기자회견서 “오늘부터 전면 이행중단” 발표

오바마 "미래를 거부한 극소수 국가에 합류" 비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결국 파리 기후협정 탈퇴를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지난해 9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파리 기후협정을 비준한 지 9개월 만에 이를 백지화했다. 세계 2위 탄소 배출국인 미국의 탈퇴 선언으로 파리협정은 사실상 존폐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부터 미국은 파리협정의 전면적인 이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파리협정은 미국에 불이익을 가져다준다”며 “나는 미국 국민을 보호할 책무를 수행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파리가 아니라 피츠버그 시민의 대표가 되기 위해 선출된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이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는 대신 미국에 도움되는 더 좋은 조건의 새 협정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공정한 협정이 만들어지면 정말 좋겠지만 안돼도 좋다”며 기후변화 대응에 별 관심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관련기사



그는 “파리협정이 중국과 인도에 엄격하지 않다”며 미국에 ‘나쁜 협정’이라고 주장하는 등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거듭 부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때부터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는 중국이 꾸며낸 것이라며 파리협정 파기를 주장해왔다.

파리협정을 최대 업적의 하나로 꼽아온 오바마 전 대통령은 곧장 성명을 내고 “이번 결정으로 트럼프 행정부는 미래를 거부한 극소수 국가에 합류하고 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파리협정에 남아있는 국가들은 그로 인해 창출되는 고용과 산업에 있어 과실을 수확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그 협정의 전면에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이 파리협정 탈퇴 절차를 밟는 데는 앞으로 3~4년 가량이 걸린다.

파리 기후협정은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혁명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하기 위해 2015년 11월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195개국의 합의로 마련돼 발효됐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