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스타 안무가의 힘…‘쓰리 볼레로’ 사흘 공연 전일 매진

김설진의 ‘볼레로 만들기’ /사진제공=국립현대무용단 제공(르부아스튜디오 황승택)김설진의 ‘볼레로 만들기’ /사진제공=국립현대무용단 제공(르부아스튜디오 황승택)


김용걸·김설진·김보람 등 세 명의 스타 안무가가 ‘볼레로’를 주제로 세 가지 색 무대를 선보이는 ‘쓰리 볼레로’가 전 회차 공연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2~4일 서울 서초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무용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안무가 세 사람이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를 자기만의 문법으로 풀어낸 작품으로 공연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화제를 모았다.


춤의 출발점은 ‘볼레로’로 동일하지만 이들이 풀어내는 무대와 음악은 모두 다르다.

관련기사



첫 순서로 선보이는 김보람의 ‘철저하게 처절하게’는 소규모 앙상블로 ‘볼레로’를 해체하는 방식으로 연주, 소리의 빈 공간을 무용수의 몸으로 채워가는 작품이다. 마치 분자 단위의 음악과 춤이 시간이 흐를수록 완결된 구조를 만들어내듯 몸을 통해 해체와 결합을 표현하는 방식이 흥미롭다.

두 번째 코너는 인기 춤 경연 프로그램인 ‘댄싱9-시즌2’ 우승자로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김설진의 ‘볼레로 만들기’다. 이 작품은 음악부터 춤까지 모든 것이 혁신적이다. 무대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부터 모든 것이 작품의 일부가 되며 급기야 공중에 스프레이를 뿌리거나 우산을 펼치고 칠판에 글씨를 적는 소리까지 일상의 소리가 ‘볼레로’를 만들어 낸다. 김설진은 “‘볼레로’ 구조가 우리 사회 구조랑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반복적인 리듬이 점층적으로 쌓이는 ‘볼레로’가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 모습과 닮은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무대는 국립발레단을 거쳐 세계적 최정상의 파리오페라발레단에 동양인 최초로 입단했던 김용걸의 ‘볼레로’다. 이 작품은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볼레로’에 맞춰 30여명의 남녀 무용단이 펼치는 군무로 악기 소리가 더해지며 점진적으로 고조되는 볼레로 본연의 음악적 특성과 안무에 집중한 작품이다.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