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美 독자 대북제재에 러 회사·개인 포함 실망…대응할 것"

러 외무부 "미국의 동요에 실망...대응할 것" 보복 암시

러시아 외무부는 미국이 발표한 독자 대북제재 명단에 러시아 기업 및 개인이 포함된 것에 강력하게 반발했다./연합뉴스러시아 외무부는 미국이 발표한 독자 대북제재 명단에 러시아 기업 및 개인이 포함된 것에 강력하게 반발했다./연합뉴스


러시아 정부가 미국 정부의 독자적 대북제재 명단에 러시아 회사 3곳과 러시아인 1명이 포함된 것에 강력히 반발했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1일(현지시간) 인테르팍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의혹과 불안함으로 관련 정보를 접했다”며 “지속적이지 못하고 설명하기 어려운 미국의 (정책적) 동요에 실망했다”고 미국에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그는 이어 “이 정책 입안자들은 추구하는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며 “미국의 또 다른 비건설적 행동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결정할 것”이라며 보복 조치를 암시했다.


러시아 상원 경제위원회 부위원장 세르게이 샤티로프도 “제재 대상에 든 러시아 기업들은 우리 외무부와 산업통상부를 통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해야 한다”며 국가 차원의 대응을 주장했다.

관련기사



미국 재무부는 앞서 이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시도와 관련해 강력한 독자 대북 제재를 발표했다. 제재 명단에는 모스크바 소재 기업 ‘NNK’와 해당 기업의 극동 지역 자회사인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소재의 ‘NNK-프리모르네프테프로둑트’, 모스크바 소재의 또 다른 기업인 ‘아르디스-포드쉬프니크’ 등 러시아 기업 3곳을 제재 명단에 포함했다. 특히 이번에 새로 등재된 ‘NNK’는 러시아 최대 국영 석유회사 ‘로스네프티’의 전(前) 사장인 에두아르트 후다이나토프가 소유한 회사이기 때문에 제재 명단 발표의 후폭풍이 더욱 클 전망이다. 미 관계 당국에 따르면 이들은 북한과 석유 공급 계약을 맺고 100만 달러(약 11억 원) 규모의 석유제품을 수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 독자제재 대상에 오르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는 동시에 미국인 및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통상적으로 미국은 이를 토대로 다른 관련국들에도 제재 대상자들과 거래를 중단하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