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뭄 속 '단비'…양 많지 않아 해갈엔 못 미쳐

“장마 때까지 상황 예의주시해야”

가뭄에 말라버린 저수지/연합뉴스가뭄에 말라버린 저수지/연합뉴스


가뭄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이번 주 두 차례 비가 올 것으로 예보됐지만, 비의 양이 많지 않아 해갈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민안전처는 5일 중앙부처와 관계기관 그리고 17개 시·도 모두가 참여하는 긴급 가뭄대책회의를 연다. 안전처는 전국적으로 퍼진 가뭄에 대한 조처로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24억원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추가로 교부할 방침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3일까지 누적강수량은 166.6㎜로 평년(313.4㎜)의 절반(53.8%) 수준에 그친다. 매년 같은 기간 누적강수량과 비교하면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적다.

충남과 전남 지역은 특히 심각하다.

충남 서북부 시·군 8곳이 식수원으로 삼는 보령댐은 5일 오전 현재 저수율이 9.9%로 담수용량의 10분의 1도 채우지 못했다.

전남은 9개 군의 4천여㏊에서 물이 없어 모내기가 늦어졌고 그나마 모내기를 한 곳에서도 물 마름·시듦·고사 등 피해가 났다.

다행히 현충일인 6일 전국에 걸쳐 비 소식이 있다.


6일 낮부터 7일 오후까지 전남과 경남에 20∼50㎜, 그 밖의 지역과 울릉도·독도·서해5도에 5∼30㎜의 비가 내리겠다. 제주에는 7일 새벽까지 30∼80㎜, 많게는 120㎜까지 비가 오겠다.

관련기사



10일에도 충청·전라·경상·제주에 비가 예보됐다.

말 그대로 ‘단비’지만, 비의 양이 가뭄을 해소할 정도에는 못 미친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비가 가뭄을 겪는 지역에 큰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비가 내린 지 오래돼 땅이 많이 마른 상태라 (이번 비로) 해갈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완전한 해갈은 여름 장마가 지나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6월과 7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 두 달간 월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여름철은 대기가 불안정해 소나기가 내리는 등 변수가 있으므로 정확히 언제 가뭄이 해소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올해 비가 워낙 적게 내렸기 때문에 장마 때까지는 가뭄 상황을 유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