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국전쟁 재조명"…'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

7일부터 12월17일까지 부산 임시수도기념관 야외정원서

해방공간 부산 등 13개 부분으로 구성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이 부산에서 열린다. 1952년~1954년 번화한 남포동 거리.(하버드대학교 피바디박물관)/사진제공=부산시 임시수도기념관한국전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이 부산에서 열린다. 1952년~1954년 번화한 남포동 거리.(하버드대학교 피바디박물관)/사진제공=부산시 임시수도기념관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이 부산 임시수도기념관 야외정원에서 7일부터 12월 17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국전쟁 발발 67주년을 맞아 한국전쟁기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최후의 교두보였던 부산에서 고단했던 피란살이를 견디고 재건을 이룩한 사람들의 뜨거웠던 이야기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해방공간, 부산 △남으로 남으로... 꼬리문 피란행렬 △바라크촌 사람들 △눈물겨운 피란살이 △화마(火魔)의 도시, 부산 △유엔군 부산상륙 △최후의 교두보, 임시수도 부산 △또 다른 전장(戰場), 포로수용소 △항도(港都)의 블랙마켓, 국제시장 △욕망하는 거리, 부산PX △전투에서 재건으로.. △하꼬방 교사와 천막교실 △임시수도 부산에서 피어난 한국의 사회복지 등 총 13개 주제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이 부산에서 열린다. 1951년 1월 부산에서 거제도로 떠나는 피란민들.(유엔사진도서관)./사진제공=부산시 임시수도기념관한국전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1950’s 부산엘레지‘ 특별전이 부산에서 열린다. 1951년 1월 부산에서 거제도로 떠나는 피란민들.(유엔사진도서관)./사진제공=부산시 임시수도기념관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전쟁과 임시수도 부산 시기의 여러 풍경들을 간직한 사진자료 130여점이 선보인다. 특히 유엔사진도서관, 하버드대학 피바디박물관, 미국립문서관리청 등 해외 소재 기관의 1950년대 부산관련 기록사진도 확보했다. 이 중 대부분의 사진들은 처음 공개되는 것으로 유엔사진도서관의 사진들은 전쟁과 동시에 광범위하게 진행된 유엔의 한국 재건 및 구호 활동을 알 수 있는 사진들로 이뤄졌다. 하버드대학 피바디박물관 소장 사진은 부산미군군수기지사령관인 위트컴(Richard S. Whitcomb,1894~1982)장군의 활동을 기록했던 미군 종군기자 로저 마슈츠(Roger Marshutz,1929~2007)가 1952~1954년에 걸쳐 찍은 기록사진으로 피란기 부산의 다양한 모습들을 담고 있다.

임시수도기념관 관계자는 “이번 사진전을 통해 우리의 삶 속에서 아직 끝나지 않은 미완의 전쟁인 한국전쟁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고 전쟁발발과 함께 거대한 난민캠프로 사람들을 보듬었던 피란지 부산의 1950’엘레지를 감상해 보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회 개막은 7일 오전 9시이며, 관람은 개막일부터 12월 17일까지 가능하다. 관람시간은 매주 화요일~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관람료는 무료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