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야사 복원' 지시했지만 전문 학예사 턱없이 부족

가야사 전공 인력 부재·비정규직 신분 등 전문 인력 확보 필요

文 대통령 ‘가야사 연구와 복원 사업’ 지시文 대통령 ‘가야사 연구와 복원 사업’ 지시


문재인 대통령이 고대 가야사 연구와 복원을 지시했지만, 가야문화 중심지인 경남 김해 등 도내 지자체에 가야사 연구·발굴·복원에 필수 인력인 전문 학예사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가야사 전문 연구기관은 국립 가야문화재연구소, 국립 김해박물관, 김해시가 설립한 대성동고분군박물관 등 3곳이다.


1990년 문화체육부 발족과 함께 설립된 국립 가야문화재연구소는 경남, 부산, 울산시 문화재 발굴조사와 연구, 출토유물 보존과 관리, 문화재연구 조사보고서 발간 등을 맡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소에는 소장을 포함해 정규직인 학예연구직이 5명에 불과하다.

김삼기 소장은 “가야사 연구를 그동안 해왔지만, 신라, 백제, 고구려보다는 기록이 크게 부족했다”며 “결국 고고학적 발굴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적은 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1998년 가야사 보존을 위해 고고학 중심으로 설립된 국립김해박물관 역시 관장 등 정규직 전문 학예사가 7명뿐이다.

관련기사



특히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와 국립김해 박물관에는 가야사를 전공한 전문 학예사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마저도 2곳에서 근무하는 학예사들이 일정 기간 근무 후 타 지역으로 순환 근무를 해 전문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지역 문화계는 지적했다.

김해시가 금관가야 최고 지배층들의 무덤 유적으로 발굴해 2003년 8월 28일 문을 연 시립 대성동고분박물관도 인력 부족에 허덕인다.

박물관은 시 문화재과 내 송원영 박물관운영팀장(6급) 1명만 정규직 학예사로 근무하고 있다. 박문관 운영팀 내 학예사 4명은 비정규직이다. 이들은 2년 단위로 재계약하며 최대 5년간만 근무할 수 있는 기간제 근로자다.

송 팀장은 “가야사 연구·복원에 필요한 학예사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데다 신분도 기간제 근로자로 고용이 불안해 업무 연속성이 떨어진다”며 “가야사 연구와 발굴, 복원작업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