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1~4월 대미 무역수지 31% 급감...10대 흑자국 중 최대 ↓

1~4월 31% 줄어 흑자 순위 5→9위

한국의 대미 흑자가 주요 교역국 중 올해 들어 가장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규모는 78억9,200만 달러(8조8,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114억2,000만 달러)보다 30.9% 급감했다. 이는 미국을 상대로 무역흑자를 내는 상위 10개 흑자국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국 순위도 지난해 5위에서 9위로 떨어졌다.

한국의 대미 흑자는 앞서 1·4분기 기준 조사 등에서도 상위 10개 흑자국 중 최대 폭인 25% 감소한 바 있다.


대미 무역흑자가 이처럼 줄어든 것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가능성 등 보호무역주의를 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무역전쟁 타깃이 될 것을 우려해 대미 수출을 줄이고 수입을 늘린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이 기간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57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3.7% 증가한 반면 수출은 236억 달러로 2.1% 줄었다.

관련기사



상무부에 따르면 1~4월 대미 무역흑자대국 순위는 중국(1,064억8,000만 달러)이 선두를 지켰고 멕시코(230억4,000만 달러)와 일본(226억 달러), 독일(200억5,000만 달러), 아일랜드(135억5,0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교역국 가운데 일본과 독일, 인도는 대미 흑자 순위가 각각 1계단씩 떨어졌으나 멕시코와 아일랜드는 2계단, 캐나다는 17위에서 무려 9계단 각각 순위가 올랐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인 2월 잠시 축소됐던 미국의 무역적자액은 지난 3월 11.1% 증가한 592억2,000만 달러, 4월에는 12.9% 늘어난 626억1,000만달러에 달하며 미국의 무역 적자 개선이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