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대변 속 장내 유익균으로 '난치성 장염' 치료한다

세브란스병원, 대변이식팀 가동

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이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이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이용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D) 장염’ 치료가 국내에서도 본격화 된다.

세브란스병원은 소화기내과·감염내과·진단검사의학과 의료진으로 국내 첫 ‘대변이식팀’을 꾸려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는 CD 장염 환자 치료에 본격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이 병원은 지난해 그간의 국내외 임상시험 성과를 토대로 신의료기술을 신청해 승인을 받았다. 이식된 대변 유래 장내 미생물 용액은 장내 유익균의 수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CD 장염은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쓴 항생제가 유익균은 죽이고 독소를 뿜어내는 항생제 내성 CD가 급증해 설사, 발열, 점액변 또는 혈변, 복통, 구토, 복부팽만감, 오한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일반적인 항생제에는 잘 반응하지 않아 치료가 어렵고 초기 치료가 잘 되더라도 환자의 35% 이상에서 재발, 장 천공 등 합병증 위험에 노출된다. 쇼크 등으로 사망하기도 한다.

새 치료법은 대변을 특수처리해 장내 미생물 용액으로 제조한 뒤 내시경이나 관장을 통해 환자의 장에 뿌려준다. 대변 제공자는 과거병력과 현재 건강상태, 가족력, 장내 병원균 및 기생충 감염 여부 등에 대한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 간염·비만·당뇨 환자, 위염 등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보균자, 여러 감염성 질환자 등도 탈락한다. 환자에게 새로운 병을 전파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박수정 대변이식팀 교수(소화기내과)는 “대변이식술은 미국과 유럽에서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라며 “치료 사례와 연구가 축적되면 궤양성 대장염,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캐나다에서는 까다로운 조건을 통과한 일반인의 대변을 모아두는 ‘대변은행’을 운영 중”이라며 “국내에서도 중장기 계획을 갖고 관련 시설 운영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항생제로 장내 유익균까지 죽자 유해 세균이 설쳐 ‘CD 장염’이 생긴 환자의 대장 내시경 사진.항생제로 장내 유익균까지 죽자 유해 세균이 설쳐 ‘CD 장염’이 생긴 환자의 대장 내시경 사진.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