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민 68% “노력해도 금수저 못돼”…계층이동 사다리 끊어진 한국

사회 전반 공평성 10점 만점에 4.5점

시민 절반 "소득수준 탓에 차별 받아"

서울시민의 30%만 “내 노력으로 계층이동이 가능하다” 생각해/연합뉴스서울시민의 30%만 “내 노력으로 계층이동이 가능하다” 생각해/연합뉴스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노력만으로 계층이동이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8일 발표한 2017 서울 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에 따르면 ‘내가 노력하면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서울시민 68%가 보통(42.3%)이거나 낮다(25.7%)고 답했다. 노력으로 지위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시민은 32%에 그쳤다.


특히 10∼20대도 30∼50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계층이동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었다. 10대의 경우 33.6%가 노력으로 계층이동을 할 수 있다고 답해 20대(34.2%)보다 더 비관적인 인식을 보였다.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에선 계층이동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28.2%였지만 300만 원 이상 가구에선 32%였다.


서울시민은 사회 전반의 ‘공평함’에 대해도 10점 만점 중 4.51점의 낮은 점수를 줬다. 소수자의 권리(3.95점)에 대한 공평함이 가장 낮다고 평가했고, 조세 정책(4.11점), 일자리·취업기회(4.33점), 수입과 소득(4.40점)순으로 낮았다.

관련기사



서울시민 절반은 소득 수준에 의해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고 있었다. 주요 차별 요인으로 소득이 50.8%, 교육 수준 43.5%, 직업 39.1%, 외모 19.7% 등이었다.

다만 시민들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현재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질문에는 10점 만점에 6.97점을 줬다. 2013년 6.86점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다. 지난 2주간 스트레스를 경험했다는 응답자 비율은 54.2%로 2014년 조사 때보다 8.7%포인트 낮아졌다. 서울시민 4명 중 1명(25.6%)은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꼈다고 답했다.

서울 서베이는 서울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 주거, 교육 등 주요 생활상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가 매년 하는 조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한 달간 서울시 거주 2만 가구와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