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톡톡캠퍼스] 기숙사 신축, 지역민 반발로 표류…학생들만 '주거 사각' 내몰려

한양대 학생들이 지난 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숙사 신축계획 통과를 시에 촉구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양대 총학생회한양대 학생들이 지난 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숙사 신축계획 통과를 시에 촉구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양대 총학생회




대학들이 월세 고공행진과 함께 주거 빈곤층으로 전락한 대학생들을 위해 내놓은 신축 기숙사 건립 계획이 지역 주민들의 반대 속에 표류하고 있다.


8일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한양대·총신대 등 수도권 소재 대학들이 기숙사 신축을 놓고 인근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주민들은 신축 기숙사가 건립되면 임대 수요가 줄어 생계가 어려워진다는 입장이다. 한양대 인근 주민들은 올해 구청이 기숙사 건립 심의에 들어가자 지역 경제 파탄을 이유로 ‘한양대기숙사건립반대대책위원회’라는 단체까지 만들어 대학의 기숙사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고려대는 학교 부지에 신축 기숙사 건립계획을 공개했지만 주민들이 개운산 훼손 등을 이유로 반대해 4년째 답보 상태다. 총신대도 지난해 6월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숙사 공사를 강행했다가 극심한 갈등을 빚었다. 현재 서울시가 총신대와 주민 간 중재에 나선 상황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지역 주민들이 상권 축소를 이유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의 주거빈곤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 20~35세 청년 가구의 주거 빈곤율은 20.3%로 65세 이상 노인가구(11.2%)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다. 서울 소재 대학의 평균 기숙사 수용률도 약 14%에 불과하다. 높은 보증금과 월세를 감당하기 힘든 대학생들은 고시원을 전전하는 등 주거복지 사각지대로 내몰리고 있다.

지역 주민과 기숙사 건립 갈등을 빚고 있는 한 대학의 학생은 “주거비를 마련하기 위해 과제와 시험공부 와중에도 아르바이트를 해야 한다”며 “학생들을 점점 더 외진 골목, 반지하, 방범창 하나 없는 방으로 몰아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과 주민 간 갈등을 중재해야 할 서울시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학 내 기숙사 설립을 두고 주민이 생업 등을 이유로 시에 대대적으로 민원을 제기한 경우는 처음”이라며 “대학이 주민과 타협안을 만들어 가져오는 것 외에 갈등을 해결할 뾰족한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