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문화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시즌2 창작자 공모...제2의 뮤지컬 ‘팬레터’를 찾아서

공연 제작사 라이브가 오는 6월 30일까지 2017 스토리작가 데뷔프로그램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에 참여할 기성 및 신인 뮤지컬 창작자를 공모한다.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인정받는 글로컬(Global+local) 창작뮤지컬을 기획, 개발하여 국내 정식공연 및 해외진출까지 추진하는 뮤지컬 공모전이다. 특히 본 사업기간 내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기획, 개발 단계부터 정식 공연까지 원스탑(One-stop)으로 지원하는 점에서 기존의 창작자 양성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국내 초연 후 해외진출까지 추진하는 사업으로 여타 공모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컨셉으로 진행된다.






라이브는 2015년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1 때 <팬레터>, <거위의 꿈> 등을 발굴했다. 이 중 최종 선정작인 <팬레터>의 경우 ‘2016 관객들이 뽑은 올해의 뮤지컬 1위’, ‘2017 창작뮤지컬 최고 재연 기대작 1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17 올해의 레퍼토리’ 선정 등 관계자 및 관객들의 호평을 받으며 국내 초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또한 올해 11월부터 3개월간 동숭아트센터에서 재연 예정이며 해외 제작사들과 해외 진출을 논의 중에 있다.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의 지원 대상은 기성 및 신인 창작자로 개인작가 및 작가, 작곡가 팀 참여 모두 가능하며 60분~90분 내외 분량의 ‘미발표된’ 뮤지컬 대본 혹은 대본과 음악이다.

1차 심사는 작품개요서, 대본, 악보, 음원 등을 통한 서류심사로 진행되며, 2차 심사는 7월 中 질의응답을 통해 최종 6개의 작품을 선정한다.

최종 선정된 6작품의 창작자들은 각 팀 별 500만원의 창작 지원금을 받는다. 또한 전문 뮤지컬 배우 및 연출가가 참여하는 테이블 리딩과 국내외 뮤지컬 창작 및 기획, 유통 현업전문가들의 코칭 및 창의 교육으로 이어지는 기획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개인작가의 경우 전문 뮤지컬 작곡가와의 매칭 지원을 받게 된다.


이후 중간평가를 통해 쇼케이스 제작 지원을 받는 2작품을 선발하며, 쇼케이스 이후 최종 선정작 1작품은 2018년 중 정식공연(국내 초연)을 올리게 된다.

관련기사



쇼케이스 2작품은 일본어, 중국어로 대본이 번역되며 일본, 중국 등 해외 뮤지컬 제작사와 해당 작품의 해외진출을 논의할 계획이다.최종 선정작 초연 시에는 프리뷰 기간 동안 해외 뮤지컬 제작사 관계자들을 초청하여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창작뮤지컬의 해외진출 및 OSMU 성공 노하우를 가진 콘텐츠 전문 제작사 라이브㈜는 뮤지컬 <총각네 야채가게>를 기획/제작해 일본에서 2013년~2015년 3년 연속 라이선스 및 오리지널 공연, 중국에서 2014년~2015년까지 5개 도시 투어 130회 이상의 라이선스 공연을 통해 현지 관계자 및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뮤지컬을 원작으로 드라마가 제작되어 국내 방영 및 아시아 시장에 수출되었다.

또 다른 창작 뮤지컬 <마이 버킷 리스트>의 경우 2014년 국내 초연 이후 2016년 K-Story 중국 피칭 (주최: 한국콘텐츠진흥원) 을 통해 영화 제작사와 영화 제작 계약이 체결되었다. 또한, 2016년 K뮤지컬 로드쇼 중국 쇼케이스 참가 (주최: 예술경영지원센터) 이후 중국의 ‘상해문화광장’과 계약을 체결, 오는 8월 상해, 북경에서 라이선스 공연을 진행한다.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는 ‘2017 스토리작가 데뷔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창작자들을 각 장르별 콘텐츠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은 대표기관과 연결해, 이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콘텐츠 창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웹 소설 (웹 컨텐츠), 뮤지컬 등 분야별 9개 대표기관이 6~12명, 총 76명 내외의 창작자를 직접 선발할 예정이며,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는 문화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 라이브(주)가 주관하며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협력으로 참여한다.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의 자세한 사항은 라이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경스타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