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그것이 알고싶다’ 6월 항쟁, 그리고 30년 후…‘민주주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민주화 과정에서 독재정권에 의한 희생은 사람들을 거리로 모이게 했고 함께 분노하고 행동하게 했다. 1987년 그로부터 30년이 흐른 지난 6월 항쟁 이후 30년이 지난 오늘, 민주주의의 현주소는 어디일까.

10일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6월 항쟁 30주년을 맞이해 ‘거리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 한다.




사진=SBS사진=SBS


2017년, 올해로 6월 항쟁 30주년을 맞이했다. 불과 얼마 전 촛불을 들고 함께한 광장에서, 우리가 힘을 모으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 30년 전, 그 여름의 거리처럼 말이다.



명동에서 45년 째 가게를 운영하는 탁필점 할머니는 지금도 명동의 거리를 보면 그 날이 선명히 떠오른다. ‘호헌철폐’ ‘독재타도’ 한 마음 한 뜻으로 구호를 외치던 날, 전경을 피해 최루탄을 피해 도망치는 학생들을 가게 안으로 숨겨주었다.


당시 한양대 간호학과 학생이었던 유진경 씨는 친구들과 의료진단에서 함께 활동했다. 다치는 사람이 생기면 치료를 하는 것이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내 일’ 이었다고 회상했다. 각자의 자리에서 함께 했던 30년 전 6월 거리 위의 사람들. 표현은 달랐지만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바람은 같았다.

관련기사



노동조합을 만든 주동자로, 85년도 한국중공업에서 해고된 김창근 씨. 5년 만에 복직이 됐지만 IMF이후 구조조정을 이유로 2002년에 또 다시 해고된다. 사측은 민영화 반대 파업을 하는 노조원들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정당한 파업도, 요구도 그저 불법으로 치부됐다. 창근 씨의 동료 故배달호 씨는 분신으로서 부당함에 저항했다.

박채영 씨 역시 동료를 잃었다. 본인의 권유로 택시 노조에서 함께 활동하던 故허세욱 씨. 2007년 4월 1일 한미 FTA 협상을 중단하라며, 협상장인 서울 하얏트 호텔 앞에서 분신했다. 그의 유서엔, 본인을 위해 모금을 하지 말라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모두 다 ‘비정규직이니까’

그들이 지키고 싶었던 건 일상의 삶이었다. 평범한 사람들이 거리 위에서 부딪히며 이루어 낸 민주주의가 왜 그들에겐 희망이 되지 못한 걸까. 87년 6월의 희생은, 계속되고 있었다.

평범한 시민들의 힘으로 일군 6월 민주항쟁, 그날 모두가 꿈꾼 민주주의는 지금 어디쯤 와있는 걸까.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6월 항쟁 3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현 주소를 묻는다. 그리고 6월 민주항쟁에서 촛불혁명으로 이어진 정신을 통해 이 땅을 사는 평범한 시민들이 이끈 변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함께 나아갈 민주주의를 고민해보고자 한다.

/서경스타 금빛나기자 sestar@sedaily.com

금빛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