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아파트값 급등에 한은 금리인상 카드 만지막

이주열 총재, 통화정책 완화 수준 조정 의사 내비쳐

미국 추가금리 인상, 국내 경기회복 등에 힘입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창립 67주년 기념행사에서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연합뉴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창립 67주년 기념행사에서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했다. 2012년 7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0%로 내린 지 5년만에 한은의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선 셈이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창립 제67주년 기념행사에서 통화정책 완화 수준을 조정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기념사에서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런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의 발언은 금융 시장에 ‘기준금리 인상을 대비하라’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연 1.25%인 기준금리를 인상해 시중 통화 유동성을 줄이면 발생할 수 있는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한은의 태도는 대내외적 여건 변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추가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국내 경제도 회복세를 보이는 덕분이다. 연준은 오는 13일(현지시간)부터 14일까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갖고 정책금리를 연 0.75~1.0%에서 1.0~1.25%로 변경할 것으로 추정된다. 연준의 정책금리 상단이 한은의 기준금리와 같아지는 셈이다.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 우려되는 이유다.

관련기사



국내 경제의 회복세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출은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증가세(전년 동기 대비)를 보였다. 지난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작년 4·4분기보다 1.1% 상승했고, 올해 성장률 역시 2% 후반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아파트 가격 급등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할 가능성이 커진 것도 기준금리 인상의 이유로 꼽힌다.

기준금리 인상이 단기간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경제의 성장세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물가상승률과 가계부채, 경제성장률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총재도 이날 회의에서 “당분간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당장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지는 않겠다고 시사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