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이사회서 '상표권 사용요율 1% 받자' 의견도 있었다"

금호타이어 채권단 '제의 수용불가'에 박삼구 격노

"산은, 대리점주까지 반대하는 매각 강행 왜" 반발

금호타이어 전국 대리점주들이 12일 서울 광화문 금호아시아나그룹 본사 앞에서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반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협력업체들도 이날 광주에서 “금호타이어 매각을 반대한다”는 궐기대회를 열었다. /사진제공=금호타이어 대리점주협회금호타이어 전국 대리점주들이 12일 서울 광화문 금호아시아나그룹 본사 앞에서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반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협력업체들도 이날 광주에서 “금호타이어 매각을 반대한다”는 궐기대회를 열었다. /사진제공=금호타이어 대리점주협회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그룹 회장이 산업은행의 금호 상표권 사용료 요율과 의무사용 기간 재조정 요구에 대해 사실상 거부하면서 산은의 역할에 대한 비판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산은 등 금호타이어 주주협의회는 12일 오후 회의를 열고 금호산업이 이사회를 다시 열어 금호 상표권을 기존 5+15년 사용, 더블스타가 원할 때 해지, 요율 매출액 대비 0.2% 조건을 재의결하고 16일까지 통보하라고 압박했다.

산은은 이를 위해 오는 6월 만기가 돌아오는 1조3,000억원에 대해 매각 종료시한인 9월까지 임시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당장 결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산은이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를 인수할 수 있도록 사전정지 작업에 나서는 역할을 도맡아 하겠다는 것으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금호타이어 매각은 더블스타가 상표권 사용 등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무산된다. 이렇게 되면 우선매수청구권을 쥔 박 회장에게 인수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하지만 산은은 우선협상대상자 1순위에 해당하는 더블스타에 어떤 식으로든 매각을 하려는 것이다. 재매각을 통해 매각대금이 급감하는 상황을 우려하기 때문이다.★본지 6월12일자 11면 참조


박 회장이 산은의 이 같은 압박에 대해 사실상 거부하면서 산은의 다음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은은 박 회장이 끝까지 상표권 사용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으면 대출만기 연장 불가나 경영권 박탈 가능성도 흘리고 있다. 산은의 한 고위관계자는 “산은이 박 회장의 경영권 박탈을 직접 운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채권단에서 결정할 일”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서는 금호타이어가 870억원 규모로 금융권과 맺은 한도대출을 축소하거나 일시정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타이어 중국 법인이 현지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2,900억원의 만기 연장을 장담할 수 없게 되면서 대안으로 국내 채권단에 제공하는 한도대출을 활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이날 회의 후 결국 매각 무산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채권단 내부 분위기도 감지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산은에서 거래 종결을 위해 노력해본다고 하지만 입장 차가 너무 커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고 평가했다.

박 회장은 다만 산은의 요구와 관련해 “상표권 수정안을 의결할 당시 이사회에서 0.8%, 1.0%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며 “(더블스타가) 쓰고 싶을 때 쓰고 말고 싶으면 마는 게 맞느냐”며 반발했다.

대리점주들은 이날 시위를 열고 “쌍용차 인수사례에서 보듯 더블스타는 금호타이어의 핵심기술만 빼가고 국내 공장 등 자산을 정리해 부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는 산은은 매각 작업을 중단하고 회사와 대리점이 공생할 수 있는 방안에 입각해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흥록기자·조권형기자 rok@sedaily.com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