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벨화학상 로저 콘버그 "4차 산업의 미래는 휴먼 바이오"

4차산업혁명시대 바이오 연구의 선도적 역할과 미래 특강

"기초연구 강화해야 미발견된 99% 생물학 지식 알 수 있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휴먼 바이오(인간 생물학)’에 있습니다.”

2006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자 건국대 초빙 석학교수인 로저 콘버그(70)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12일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열린 상허생명대학 출범 심포지엄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바이오 연구의 선도적 역할과 미래’라는 주제로 세계 생물학 연구 동향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콘버그 교수는 “앞서 3차 산업혁명이 물리학과 정보기술의 발전에서 시작됐다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생물학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가 알고 있는 생물학 지식은 1%에 불과한 상태로 현재 이러한 발전을 이루었는데 나머지 99%의 생물학 지식이 발견되면 21세기 인간의 삶에 얼마나 획기적인 변화를 맞을지 상상해 달라”며 휴먼 바이오 산업의 발전이 무궁무진하다고 자신했다.

그는 또 “새로운 지식을 통해서 질병을 예방·치료하거나 잔인함, 편협함 등 원치 않은 행동장애를 없앨 수도 있을 것”이라며 휴먼 바이오의 발전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이유로 콘버그 교수는 이러한 아직 발견되지 않은 99%의 생물학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 세포 내 유전자(DNA)에서 유전정보전달물질(RNA)로 유전 정보가 전달되는 전사 과정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그는 “모든 인간의 기능은 유전자를 통해 이뤄지는데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고 조절되는지 밝혀내면 암이라든지 행동장애 등 모든 질병을 막고 바이러스를 이겨내 인간은 불멸의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콘버그 교수는 한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간 생물학 강국이 되기 위해선 특히 기초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에서 이뤄지는 많은 연구들은 당장 쓸 수 있는 기술이나 단기적인 성과에만 치우쳐 있다”며 “인류역사를 획기적으로 바꾼 페니실린도 단백질 세포의 기초적인 구조를 연구하다 우연히 발견된 것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콘버그 교수는 2007년부터 건국대 석학교수로 초빙돼 공동연구 및 강의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모든 유전자 발현이 대부분 조절되는 생물·의학적 과정인 전사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 단백질을 밝혀내고, 전사 관련 단백질 집합체의 구조를 원자 단위까지 규명해 200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아버지인 아서 콘버그 박사가 1959년 DNA 복제효소를 최초 발견하는 등 유전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업적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아 부자 노벨상 수상자로도 유명하다.

콘버그 교수의 이날 특강에는 150여명의 학생이 참석해 세계적 석학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그는 이어 13일에도 상허생명과학대학 학생들을 만나 생물학 연구에 관해 대화한다. 이어 그간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해 온 건국대 ‘KU글로벌랩’과도 생명공학 연구에 관한 협의도 진행한다.

건국대 초빙 석학교수인 로저 콘버그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12일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강의하고 있다. /사진제공=건국대건국대 초빙 석학교수인 로저 콘버그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12일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강의하고 있다. /사진제공=건국대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