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항로·해로 잃은 카타르, 이란·오만으로 '긴급대체'

이란민간항공기구, 카타르항공 영공 통과 허가

화물선 UAE 중계무역항 폐쇄에 오만에 기항키로

카타르항공 항공기/연합뉴스카타르항공 항공기/연합뉴스


카타르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이웃 걸프 국가의 단교 선언으로 항로와 해로가 막힌 가운데, 이란과 오만을 통해 봉쇄 위기를 헤쳐나가고 있다.

이란민간항공기구는 사우디 등이 단교를 선언한 이튿날인 6일(현지시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카타르 정부의 요청으로 카타르항공의 이란 영공 통과를 허가했다고 전했다. 이란민간항공기구의 알리 아베자데 회장은 12일 “카타르항공의 예상치 못한 비행으로 이란 영공을 통과하는 민항기의 교통량이 단교 전보다 17% 증가했다”면서 “이렇게 순식간에 늘어난 교통량에 대응하는 능력은 쉬운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카타르와 단교한 사우디·아랍에미리트(UAE)·바레인을 비롯해 이집트까지 자국 영공을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카타르항공은 아프리카·유럽행 항공편의 대체 항로를 찾아야 했다. 카타르항공의 아크바르 알바케르 사장은 12일 “항로 봉쇄는 민항기의 운항에 관한 항공자유화협정(시카고 협정)을 어긴 불법적 조처”라며 “ICAO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카타르 항만청은 12일 그간 중계무역항으로 이용하던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제벨알리항이 폐쇄되자 오만 소하르항과 살랄라항에 기항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날 처음 소하르 항에서 카타르 도하 하마드 항으로 화물선 한 척이 입항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의 해운회사인 덴마크 머스크라인과 2위 해운회사 MSC는 12일 “오만에서 카타르로 가는 컨테이너선을 추가로 예약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카타르로 오는 무역선 대부분은 제벨 알리 항에서 하역한 뒤 소형 선박에 화물을 나눠 하마들 항으로 수송해왔다. 이란도 지난 9일 걸프 국가의 해상 봉쇄를 겪는 카타르에 반다르압바스 등 걸프 해역의 3개 항을 카타르행 전용 항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관련기사



한편, 사우디는 카타르가 수입하는 식품의 약 40%가 통과하는 유일한 남부 육상 국경을 차단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