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목1동 주민센터 '복합행정청사'로

LH-양천구 협약, 도시재생 시동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노후화된 서울 양천구 목1동 주민센터를 도시재생거점 사업으로 복합 개발하기로 하고 양천구와 13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LH와 양천구는 목1동 주민센터를 복합행정청사로 재탄생시키고 인접한 SBS와 CBS 등 방송미디어 산업과 연계한 창업지원시설로 특화해 개발할 방침이다. 미디어센터에는 공유형 1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편집실, 우리동네 방송 등 주민 참여형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교육·실습실, 공유오피스와 창업카페, 미디어 산업 관련 종사자와 청년 창업인을 위한 주거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LH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낡은 청사를 새로 지어 주민들을 위한 문화·교육·복지 관련 공공시설을 마련하고 싶어도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런 지자체의 고민을 해결하는 동시에 도심 지역 내 청년의 일자리와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용허가 방식의 공유재산 활용형 복합청사 개발모델을 새롭게 도입했다.


공유재산에 대한 사용허가 방식은 LH가 노후청사를 신축해 기존 청사시설은 지자체에 기부채납하고 용적률 여유공간에 대한 사용수익허가를 받아 창업지원시설과 창업지원주택 등 수익시설로 건설·운영해 사업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지자체는 건설비용 부담을 덜고 LH는 여유공간을 30년 이상 최대 50년까지 무상으로 지역맞춤형 정책사업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LH는 이번 양천구 도시재생모델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전국 지자체에 확대할 계획이며 신정·신월 생활권에도 공유지활용형, 저층 노후주거지형, 지역산업재생형 등 다양한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을 발굴, 추진할 예정이다.

김상엽 LH 서울지역본부장은 “주택의 건설·공급뿐만 아니라 창업지원시설, 주민편익시설을 LH가 직접 관리·운영하는 타운매니지먼트 역할을 수행하겠다”며 “도시재생거점 마련을 통해 청년 일자리·주거, 문화·복지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신정부 도시재생뉴딜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1990년에 지어진 목1동 주민센터는 공간이 협소하고 노후화된데다 도서관 등 커뮤니티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주민 이용에 불편이 많았다. 또 목동중심지구 일반상업지역(용적률 800%)에 위치했는데도 용적률 113%의 3층 건물로 이용도가 낮았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