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공공부문 일자리 223만개…전체의 8.9% 수준

OECD 평균 절반 밑돌아

지난 2015년 기준 공공 부문 일자리는 223만6,000개로 전체 일자리의 8.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언급한 7.6%보다는 높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5년 공공 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공공 부문 일자리는 일반정부 199만개와 공기업 34만6,000개 등 총 233만6,000개였다. 이번 통계는 문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공공 부문 고용비율을 OECD 평균(2013년 기준 21.3%)의 절반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신규 일자리 81만개를 만들겠다고 밝히면서 주목받았다. 당시 문 대통령이 인용한 수치는 통계청이 아닌 행정자치부 수치다.


통계청은 과거 일자리 행정통계에 있던 공공일자리 통계를 독립시켜 이번에 새로 발표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사회보험·과세자료 등 행정자료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에서 입수한 수치로 작성된 행자부 통계보다 더 많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며 “한국은행·금융감독원 고용, 국회 및 사법부 기간제 일자리, 일용근로자 등을 추가로 담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근속기간별로는 3년 미만인 일자리가 32.2%(75만 3,000명)로 가장 많았다. 특히 비정규직 계약 갱신 시점인 2년 미만 일자리는 27.5%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근속 기간이 짧을수록 정규직, 무기계약직보다 비정규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통계청은 정부가 공약대로 임기 내 공공 부문에서 17만4,000명을 추가 고용하면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포인트 오른 9.6%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이번 통계에는 비정규직 일자리도 포함됐는데 노동계에서 비정규직으로 간주하는 간접고용 일자리는 민간으로 분류돼 빠졌다. OECD 등에서 직접고용만 공공 부문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