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성평등委 설치, 여성 사회·경제적 자립 도울 것"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 역임 등

20여년간 노동·여성문제 매달려

정현백(오른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2015년 세계여성의날 기념식에서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함께 서 있다.  /연합뉴스정현백(오른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2015년 세계여성의날 기념식에서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함께 서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첫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내정된 정현백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후보자 발표 직후 “국민의 행복과 안전,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해 성평등을 더 이상 후순위로 둘 수 없다”며 “여성가족부 위상 제고와 기능 확대를 위해 남다른 각오로 일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경력단절여성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성평등위원회를 설치해 여성의 사회적·경제적 자립을 돕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20년간 노동과 여성 문제에 관해 폭넓게 연구해온 정 후보자는 정책 추진에서도 경제, 고용·노동, 사회복지 관련 부처와 광범위하게 소통할 생각이다. 한국여성연구회·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시민단체 대표를 역임하며 여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온 행적에서도 앞으로의 행보를 내다볼 수 있다.

정 후보자는 2000년대 초중반 여성부 정책자문위원과 여성차별개선위원회를 맡으며 여성부와 연을 쌓았다. 그는 “여성의 생물학적 성차별뿐만 아니라 임금격차와 유리천장 등 사회적 성차별도 심각하다”며 “중심 사안을 타 부서와 연계해 종합적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20·30대 여성들의 취업난과 남녀 임금격차, 보육문제, 경력단절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더미”라며 “개별 일자리 한두 가지를 창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용·노동과 관련된 복합적 원인들을 함께 해결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 후보자는 여성·노동·통일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해온 역사학자이자 시민운동가로 널리 알려졌다. 청와대는 “여성문제, 양성평등, 노동정의 실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불평등과 격차 해소를 위해 활동해온 시민운동가이자 국내외에서 능력을 인정받는 역사학자”라고 정 후보자를 평가했다. 또 여성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재협상 등 긴급한 현안도 차질 없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정 후보자는 노동과 평화통일 관련 시민단체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2010년부터 6년간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맡았고 통일운동단체인 ‘시민평화포럼’의 공동대표를 거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상임의장과 시민운동 지원단체인 사단법인 ‘시민’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그는 “여성의 참여 없는 평화란 있을 수 없다는 문제의식 아래 한반도 평화체계를 오래 연구해왔다”며 “앞으로도 여성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경협 협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약력 △부산(64) △이화여고 △서울대 역사교육학과 △서울대 서양사 석사 △독일 보쿰대 독일현대사 박사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현) △역사교육연구회 회장 △참여연대 공동대표 △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