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팀 쿡 애플 CEO ‘자율주행 기술 개발’ 첫 공식확인

“자동차 산업은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

지구 온난화에 맞서 1조원 규모 그린본드도 발행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쿠퍼티노=AFP연합뉴스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쿠퍼티노=AFP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 에밀리 창과의 인터뷰에서 “애플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자율주행 기술은 인공지능(AI) 프로젝트의 어머니”라고 밝혔다.

애플이 자율주행차 프로젝트 ‘타이탄’을 운영 중인 것은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었지만 애플이나 쿡 CEO가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애플은 지난 2014년 타이탄을 출범시킬 당시에는 독자적인 ‘애플 카’를 개발할 생각이었지만 현재는 기존 자동차 회사와 연계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쿡 CEO는 “우리는 제품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기술을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플은 지난 4월 캘리포니아 주 정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에 대한 인가를 받았으며, 최근 실리콘 밸리 인근에서 애플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된 렉서스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도로에 나타난 사진이 포착되기도 했다.


애플의 자율주행 프로젝트인 타이탄에는 1,000명 가량의 기술인력이 포진해 있었지만 지난해 10월 애플이 타이탄 인력을 대거 축소하면서 애플 카 개발을 접고 소프트웨어 쪽으로 방향 선회를 했다고 IT 전문매체 더버지는 전했다.

관련기사



쿡 CEO는 인터뷰에서 “향후 자동차 산업은 대변혁과 혼돈의 시대를 맞게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 기술은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3가지의 큰 변화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나머지 두 변화는 차량공유와 전기 자동차라고 쿡 CEO는 덧붙였다.

한편 애플은 이날 지구 온난화에 맞서 싸우기 위해 10억달러(1조1,000억원)의 그린본드(green bond)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그린본드는 친환경 프로젝트에 쓸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의미한다. 애플은 1년 전에도 그린본드로 15억달러를 조달한 바 있다. 이번 그린본드는 이달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를 결정한 후 미국 기업이 처음으로 발행하는 본드가 됐다. 리사 잭슨 애플 환경·정책·사회 프로젝트 부사장은 “기업계의 리더십이 기후 변화의 위협에 대응하는데 핵심적”이라고 성명에서 말했다.

애플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재생 에너지 자원을 사용하고 시설과 제품, 공급망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기후변화 영향을 줄일 계획이다.

애플은 2,570억달러에 달하는 천문학적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해외에 있으며 미국으로 이 자금을 들여오려면 35%의 법인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 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