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난해 국민순자산 1.3경…부동산 급등에 5.8% 증가

전국 부동산이 들썩이면서 지난해 국민순자산이 1경3,000조원을 넘어 국내총생산(GDP)의 8배에 육박했다.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부를 뜻하는 국민순자산은 1경3,078조원으로 지난 2015년보다 715조원(5.8%) 늘었다. 국민순자산은 우리나라 가계와 정부·기업이 가진 비금융자산과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을 합친 금액이다. 지난해 토지와 생산설비 등 비금융자산은 1경2,741조4,000억원(97.42%), 순금융자산은 336조6,000억원(2.57%)이었다. 국민순자산 전체 규모는 GDP(1,637조원) 대비 8배(798.7%)로 2015년(790.4%)에 비해 8.3% 증가했다.

관련기사



국민순자산 증가는 부동산이 끌어올렸다. 비금융자산 가운데 55%(7,028조원)를 차지하는 비생산자산(토지·지하자원 등)의 경우 지난해 가격상승률은 4.6%로 2007년(13.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지가상승률(2.7%)이 2012년(1.0%) 이후 꾸준히 올랐기 때문이다. 비생산자산의 가격이 뛰면서 자본이익(명목보유손익)도 306조4,000억원으로 2015년(259조6,000억원)보다 46조8,000억원 증가했다. 비생산자산의 자본이익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체 국민순자산은 늘었지만 가계와 정부의 몫은 되레 줄었다. 지난해 순자산(국부) 가운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중은 57.6%로 전년에 비해 0.4%포인트 감소했다. 정부도 27.1%로 0.1%포인트 축소됐다. 다만 비금융법인은 13.1%로 0.4포인트, 금융법인은 2.1%로 0.1%포인트 늘었다. 가구(2.5명 기준)당 순자산은 3억6,770억원으로 추산됐다. 가계의 대표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3,732조원으로 GDP 대비 2.88배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 시가총액은 2014년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