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리더십 공백 금융위 가계부채 간담회 돌연 취소

[앵커]

금융당국의 전방위적인 가계빚 옥죄기에도 지난 3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폭이 다시 확대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8월까지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만들라고 지시하기도 했는데요.

금융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가계부채 대책을 진두지휘해야 할 금융위원장 자리가 사실상 공석이라 선뜻 손을 대지 못 하는 모습입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금융위원회가 오늘 오전 10시 예정됐던 가계부채 간담회를 돌연 취소했습니다.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금융권 협회 등이 참석해 가계부채 대응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금융위는 대신 보도자료를 통해 “8월 중 발표될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부채 속보치 외에는 특별한 내용이 없어 간담회를 취소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8월까지 가계부채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주무 부처인 금융위는 리더십 공백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겁니다.

관련기사



현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사표를 낸 지 한 달이 지났지만, 후임 인선 작업은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후임에 거론되는 인물은 10명 넘게 쌓여만 가고, 대부분의 공식 행사는 정은보 부위원장이 대신하는 상황입니다.

이 가운데 가계부채 대책의 핵심으로 꼽히는 LTV·DTI 문제는 다음 달 초까지 어떻게든 결론을 내야 합니다.

다음 달 말에 LTV·DTI 규제 완화 조치의 일몰이 도래하기 때문입니다.

되살아난 가계부채의 증가세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5월 한달 간 전 금융권에서 가계부채는 10조원 늘어, 월 증가액이 전달인 4월보다 3조원 더 많았습니다.

금융위는 봄철 이사수요 등 계절적 요인으로 월별 가계부채 증가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1~5월 누적 기준으로 올해 가계부채 증가액은 지난해보다 6조원 가량 줄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가계빚 증가 규모가 역대 최대치였던 점을 감안하면 눈에 띄게 줄었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ly.com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