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봉준호 감독, “옥자, 영화 유통 방식의 새 규칙 만들 것”

봉준호 감독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영화 ‘옥자’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봉준호 감독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영화 ‘옥자’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9일 영화관과 넷플릭스 동시 개봉 결정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 영화 ‘옥자’에 대해 영화를 제작한 봉준호 감독이 직접 ‘필요한 논란’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옥자가 영화 유통 방식의 새로운 규칙을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봉 감독은 14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옥자 내한 기자회견에 참석해 “(옥자에 대한) 논란으로 넷플릭스 영화에 대한 업계의 규칙이 다듬어질 것 같다”며 “옥자가 업계의 새로운 규칙이 만들어지는데 기여한다면 그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봉 감독의 이번 발언은 영화를 비롯한 국내 콘텐츠 업계가 넷플릭스처럼 새로운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거대 기업의 존재를 인정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 방식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는 한 달에 적게는 7.99달러(약9,000원)만 내면 영화와 TV 프로그램과 같은 영상 콘텐츠를 맘껏 볼 수 있는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 세계 유료가입자만 1억명에 달한다. 지난 2013년부터 자체 제작 콘텐츠도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번에 논란이 된 옥자의 제작에는 560억원을 투자했다. 일반적으로 자체 제작 콘텐츠는 넷플릭스 단독 개봉을 하지만 옥자의 경우는 넷플릭스 개봉과 국내 극장가 동시 개봉을 결정했다. 지금까지 국내 개봉 영화들은 영화관 개봉 후 2주~3주간의 홀드백(영화 개봉 후 다른 경로로 유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두고 나서야 IPTV 등 다른 유통경로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됐고, 영화관들은 이같은 관행으로 영화를 한시라도 빨리 보고자 하는 관객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옥자의 영화관과 넷플릭스 동시 개봉 결정으로 이 같은 원칙이 깨지게 됐다. 관객 확보에 비상이 걸린 CGV와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주요 멀티플렉스는 기존 콘텐츠 유통 질서를 무너뜨린다며 반발하고 있으며, CGV는 상영 거부의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봉 감독은 “(이번 논란은)옥자를 큰 스크린에서 봤으면 좋겠다는 저의 영화적인 욕심 때문에 생긴 일”이라며 “극장업하는 사람들로서 멀티플랙스의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옥자는 넷플릭스 가입자들의 회비로 만들어진 돈인데 우선권을 빼앗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