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새벽 미국 금리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습니다. 세계 금융시장이 예상했던 대로지만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짚어보지 않을 수 없는데요.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에 관해 경제산업부 김혜영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미국의 금리 인상 행보가 빨라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이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예상대로 0.25% 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고요?
[기자]
네. 미국이 3개월 만에 기준 금리를 또 다시 인상했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올 들어 두 번째 인상입니다.
미국이 예상대로 새벽에 기준금리를 1~1.25%로 상단을 1.25%까지로 올리면서, 이제 우리나라 기준금리와 같아졌습니다.
연준은 “노동시장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고, 올 들어 경제 활동도 양호하게 상승해 왔다”며 기준금리 인상 배경을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올 하반기 이르면 9월 한차례 더 금리를 올리겠다는 추가 계획도 시사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아지는 이른바 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금리 차익을 쫓는 자본시장의 속성상 우리나라 등 신흥시장에서 외국인의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는 자본 이탈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요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잇따라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앵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상 압력을 받지 않을까요? 미국의 금리 인상과 연동해 한국의 금리도 따라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죠?
[기자]
네. 한국은행 금리 인상 압박도 커졌습니다.
자본 유출 우려로 금리 운용의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 밖에 없는겁니다.
미국도 이자를 많이 주는데 굳이 한국에 돈을 묻어둘 일 있느냐는 거죠.
즉, 글로벌 자금이 안전자산인 미국으로 복귀하며 국내 시장에서 대규모 자금 이탈이 일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 경우 한은도 금리를 인상해야 외화유출을 막을 수 있을텐데요.
실제, 한은은 과거에도 미국이 금리 인상 가속 페달을 밟으면 금리 인상하는 방향으로 대응해왔습니다.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은 과거에도 2차례 있었습니다.
한미 간 금리가 같아진 시점은 1999년 5~6월, 2005년 6월~8월인데요.
한은은 1999년 금리가 같아진 후 역전되자 2000년 2월 기준금리를 4.75%에서 5.0%로 인상했습니다.
2005년도 금리가 같아진 후 8월 역전되자 2개월 후인 10월 금리를 3.5%로 올렸는데요.
이미 시장에 금리 인상 신호는 던져진 상태입니다.
한은은 이르면 하반기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8월 정부가 취약계층 등에 대한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게 되는데요.
이에 따라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안전판이 마련되면 본격적인 금리 인상을 논의하는 그림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이같은 맥락에서 8월 31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강한 신호가 나오지 않겠냐는 관측이 상당합니다.
[앵커]
국내 금리가 상승 국면으로 접어들면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가계부채의 뇌관이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높죠? 한은이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계부채 이자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을 텐데요. 서민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기자]
가계부채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현재,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이 녹록치가 않습니다.
수출을 중심으로 경제가 회복하고 있다지만 사상 최대의 가계부채가 국민들을 짓누르며 내수 소비는 회복이 더딘 상태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은이 보조를 맞춰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커져 가계부채에 억눌려 있는 저소득층이 타격받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입니다.
작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2.8%입니다.
1년전보다 4.7%포인트 늘어나면서 전세계 주요국 가운데 세번째로 증가 속도가 빨랐는데요.
쉽게 말해, 소득은 좀처럼 늘지 않는 상황에서 빚만 빠르게 늘어난 겁니다.
현재, 국내 가계부채(1,360조원)는 1,400조원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미국이 인상 속도를 높여가는 만큼 이에 대응해 국내 금리가 오르게 되면 한국의 가계부채 폭발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가계가 원금과 이자를 갚는 부담이 늘면, 쓸 수 있는 여유자금이 줄어들어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앵커]
금융시장뿐 아니라 국내 산업계도 파장이 적지 않을 텐데요.
[기자]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산업계에 미칠 영향은 ‘양날의 칼’과 같습니다.
우선, 긍정적인 측면은 원달러환율 상승으로 수출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미국 경기회복에 따른 해외 수요 증가라는 부분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 자본유출을 겪게 되는 신흥국의 경기침체로 신흥국 수출이 감소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업종은 자동차, 항공·해운 등입니다.
특히, 자동차업계는 신흥국 관련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업계는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경기가 위축되면 이는 자연스럽게 판매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완성차 업체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겁니다.
여객기와 선박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항공·해운업계는 외화 차입금 비중이 커 금리 인상이 이자 인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수출 효자 종목인 반도체나 디스플레이의 경우 달러가 강세를 띠게 되면 제조사는 상당한 실적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어 희비가 엇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