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전불감증 대학...테러대응 메뉴얼도 없어

본지 서울권 10개 대학 조사

재난땐 관련부처서 회의 주재 등

현장 동떨어진 행정절차만 나열

잇단 캠퍼스 내 사고에도 서울권 대학 상당수는 재난과 테러에 대응할 안전지침이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연세대와 이화여대가 각각 사제폭발물 사고와 물탱크 파열 사고를 겪고도 수업 및 시험을 강행해 논란을 빚은 가운데 대학들이 안전관리에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경제신문이 15일 서울권 10개 대학의 재난대처용 안전지침을 조사한 결과 9개 대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원론적인 안전지침 외에 초동대응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해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학이 일부 공개한 안전지침은 ‘재난 발생 시 관련 부처에서 회의를 주재한다’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세운다’ 등 급박한 재난현장과 동떨어진 교직원 행정 절차만 나열돼 있었다. 특정 건물에서 폭발 등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학생들이 어디로 대피하고 반경 몇 ㎞의 건물들까지 휴교를 할 것인지, 학생들 전체 비상연락망이나 공지는 어떻게 띄울 것인지와 같은 상세한 사항은 전혀 없었다.

일부 대학은 초중고교에 적용되는 교육부 안전지침을 따르고 있다고 답변했다. A대학이 재난 상황에서 적용한다고 한 교육부의 ‘학교 현장 재난 유형별 교육훈련 매뉴얼’은 “교사는 교내 방송을 한 후 출석부를 불러 학생들의 인원수를 확인하고 학부모에게 연락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국가안전관리집행계획 등 안전지침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상황보고·비상소집·회의와 대책 마련과 같은 포괄적 절차를 담고 있다”며 “대학만을 위한 구체적 휴교·대피 방침은 없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안전관리 지침을 관제팀에 일임하는 태도도 문제로 지적된다. 관제팀은 학사 관리나 일정 조정에 대한 권한이 없어 재난 초동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어서다. 심지어 이마저도 학교 내부에서 정리가 안돼 있는 실정이다. 한 학교 관계자는 “안전관리 일체를 시설·관재팀이 담당하고 있어 대응지침에 관한 부분은 우리 소관이 아니다”라고 했지만 안전시설 관리팀의 한 관계자는 “학사 일정을 미루거나 중단하는 것은 관재팀이 혼자 결정할 수 없고 관련 교직원들과 회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대학은 학사 일정, 건물 지형 등이 캠퍼스별로 다르기 때문에 건물별로 구체적인 대처 매뉴얼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재난이 닥치면 별도의 인준을 거치거나 회의를 열 시간이 없기 때문에 즉각 대응 가능한 매뉴얼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