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진웅섭 “불법금융 피해 27조원, 지자체 공동대응해야”

"불법금융 피해 연 27조원"

서울시 등과 금융사기 예방 MOU

진웅섭(왼쪽 네번째) 금융감독원장과 금융권 경영진 등이 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민생침해 피해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손을 엇갈아 잡아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정정희 KEB하나은행 부행장, 홍재문 은행연합회 전무, 이광구 우리은행장, 진 원장, 박원순 서울시장, 윤종규 KB국민은행장, 박진희 씨티은행장, 서현주 신한은행 부행장, 최재만 SC제일은행 전무. /사진제공=금융감독원진웅섭(왼쪽 네번째) 금융감독원장과 금융권 경영진 등이 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민생침해 피해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손을 엇갈아 잡아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정정희 KEB하나은행 부행장, 홍재문 은행연합회 전무, 이광구 우리은행장, 진 원장, 박원순 서울시장, 윤종규 KB국민은행장, 박진희 씨티은행장, 서현주 신한은행 부행장, 최재만 SC제일은행 전무.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진웅섭 금융감독위원장은 “불법금융으로 인한 서민과 취약계층에 위협적인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며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공동대응을 주문했다.


진 위원장은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금융사기 등 민생침해 피해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행사에서 “현재, 불법금융에 의한 연간 피해규모는 약 27조원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는 우리나라 2016년 국내총생산 1,692조원의 1.6%에 달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진 위원장은 “보이스 피싱의 경우 과거 기관사칭형에서 최근에는 햇살론 등 정부지원자금 대출빙자형으로 진화하고 있어 하루 평균 5억원 가량의 피해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독버섯과 같은 불법금융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관들과 공동대응해야 하며 국민과 가장접점에 있는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

금감원은 이날 서울시·KB국민·신한·우리·SC제일·KEB하나·씨티은행 등 6개 주요 은행과 MOU를 맺고 은행 홈페이지에서 상조금 관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상조회사 같은 선불식 할부거래의 경우 업자가 회원에게 회비의 50%를 은행예 예치해야 하지만 그동안 고객이 이를 직접 확인하기는 까다로웠다.

금융감독원은 이와 함께 신종 사기수법에 대한 사례와 그 대처방안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려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