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제는 끝내고 싶습니다" 150여명 실종아동부모의 서한

이철성 경찰청장에 서한 보내

아동 1명마다 수사 1명 전담 요구

‘장기실종아동 부모모임’이 1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시위를 열고 이철성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있다./신다은 기자‘장기실종아동 부모모임’이 1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시위를 열고 이철성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있다./신다은 기자


장기실종아동의 부모들이 실종아동 1:1 수사전담제도를 주장하며 이철성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10년 이상 장기실종된 자녀를 둔 ‘장기실종아동 부모모임’은 1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 집회를 열고 ‘경찰청장님께 드리는 서한문’을 읽었다.

부모모임은 “현재 경찰인력이 장기실종자녀 수색 외에도 성폭력, 청소년범죄 수사 등을 겸하고 있어 효과적인 실적이 나지 않는다”며 “장기실종 아동을 찾기 위해 1:1 담임수사제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1:1 담임수사제란 10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에게 1:1로 수사관을 붙여 초·중·고·대학교까지 실종아동의 생애주기를 다방면으로 추적하는 제도다. 현재 각 경찰서 여성청소년과에서 장기실종아동 수색을 맡고 있지만 다수의 사건을 함께 처리하는 데다 경찰의 인사이동이 잦아 실종아동만을 위한 실질적 수사지원은 줄어들고 있다는 게 가족들의 주장이다. 실종아동전문기관에 따르면 실종아동법이 제정된 2005년 이전에 실종돼 현재까지 발견되지 못한 장기실종아동은 155명에 달한다.


2003년 실종된 아들 모영광(당시 3세)의 어머니인 박혜숙(45)씨는 “아들을 찾으려고 전단지·플래카드 등을 뿌리는 데에 한 달에 4,000만원씩 썼다”며 “민간인 신분으로 가족을 찾으려니 자주 한계에 부딪혔다”고 말했다. 20년째 잃어버린 아들을 찾고 있는 박정문(52)씨도 “진영이(당시 3세)를 잃고 전국 방방곡곡을 다녔지만 경찰은 ‘단서가 없다’는 말 뿐이었다”며 “1:1은 상징적 의미고 2:1, 3:1이어도 좋으니 각 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 생활기록부를 요청하는 등 추적수사를 해 줄 인력을 증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부모모임은 지난 12일부터 청와대 인근 서울 종로구 푸르메재단 앞에서 장기실종아동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1인 시위를 열고 있다. 이날부터는 경찰청 앞에서도 1:1 수사관 전담제도를 면담을 요청하는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26년 전 딸 정유리(당시 11세)씨를 잃어버린 정원식(68)씨가 행인들에게 딸의 인적사항이 담긴 전단지를 나눠주고 있다./신다은 기자26년 전 딸 정유리(당시 11세)씨를 잃어버린 정원식(68)씨가 행인들에게 딸의 인적사항이 담긴 전단지를 나눠주고 있다./신다은 기자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